‘나도 스타라면 만만치 않게 좋아하는데 이번기회에 프로게이머나 한번 해 볼까?’

i) 지난 2005시즌 ‘연봉킹’ 임요환선수는 SK텔레콤 T1과 기본연봉 1억8천만원에 옵션 조항으로 최대 8천만원까지 추가로 받기로 합의, 계약을 체결했다. 계약 기간은 3년, 매년 최대 2억6천만원씩 3년간 최대 7억8천만원을 받게된다. 이는 기존에 이윤열선수가 팬택앤 큐리텔에 입단하면서 체결한 2억의 연봉을 앞지르는 금액이다. 또한 SK텔레콤의 또다른 간판스타인 최연성은 기본 연봉1억 5천만원에 3년간 장기계약을 체결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로써 2005시즌 프로게이머계의 억대연봉자는 임요환, 홍진호, 강민, 이윤열, 박태민, 박용욱 등 총 8명이다.

ii) 신한은행이 2006년 열리는 세 번의 온게임넷 스타리그(아래 스타리그)를 모두 주최하기로 결정했다. 또한 3회의 스타리그가 치러진 후 상위입상자들을 대상으로 마스터즈 리그도 개최할 예정이다. 안정적 스폰을 얻게 된 스타리그는 더욱 승승장구할 전망이다.

iii) 한국e스포츠협회(회장 김신배, e-sports.or.kr)는 14일 스카이(SKY)와 프로리그 2006 시즌의 후원에 대해 전격 합의했다.
스카이는 예년에 비해 좀 더 확대된 지원을 약속했다. 우선 상금 규모에 있어 각 게임단의 적극적인 참여를 통한 경기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지난해의 3억원에서 두 배 가까이 늘어난 5억원으로 책정해 e스포츠 최대 상금 신기록을 한번 더 경신 하게 됐다. 특히 전-후기리그 최강 팀플레이 조합을 기자단 투표를 통해 선발, 5천만원씩을 지급할 예정이다.

위의 일련의 소식들을 보면 정말 프로게이머는 고소득자이며 화려할 뿐만 아니라 E-sports계는 탄탄하다는 생각이 든다. 게다가 좋아하는 게임만 열심히 하면 절로 프로게이머가 되어 게임을 실컷 하면서 동시에 성공할 수 있다는 환상까지 절로 든다. ‘까짓 거 나도 이번에 한번?’
하지만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프로게이머의 화려함에 대한 오해를 3가지 측면에서 만신창이로 깨 주는게 이번 기사의 목적이다.
I) 프로게이머가 되는 과정의 험난함
지금 당신은 ‘나 좀 하는데, 좀만 더 연습하면 프로게이머 되는 것도 별 것 아닐 것 같아’라는 생각을 할 지도 모른다. 여기저기서 끌어모은 정보를 통해 우선 당신의 오해를 원천봉쇄할 필요가 있다.

우선 프로게이머도 엄연한 자격증임을 상기해야 한다. 당장 프로게이머 자격증을 따기부터도 쉽지가 않다.
한국 E-sports협회에서 내세우는 프로게이머 등록 기준은 아래의 표와 같은 기준을 갖춘 공인대회 혹은 E-sports협회에서 인증한 공인대회에서 단일대회는 8위, 리그는16위안에 입상해야 한다. 대표적인 대회로는 커리지 매치(E-sports협회가 프로게이머를 뽑기 위해 여는 공인대회)가 있다. 중요한 것은 한번이 아니라 두 번이나 입상해야 하며 그 뒤 소양교육을 받아야 한다. 한번만 입상하거나 소양교육을 받지 않으면 준프로로 활동하게 되는데 준프로는 대회의 참가가 제한된다.

    구분

                                         단일대회

                  리그대회

참가인원


참가 신청인원 500명 이상
(온라인 예선이 있는경우 이를 포함)

40명 이상

상금규모

총 상금규모 2,000만원 이상

총 상금규모 2,000만원 이상

 

게임종목

공인 게임종목 1종목 이상
공인 게임종목 1종목 이상

기간

제한없음 30일 이상

주최사

협회 회원사 또는 협회가 인증한 공인게임대회 주최사
협회 회원사 또는 협회가
인증한 공인게임대회 주최사


이 쯤에서 프로게이머가 되는 가장 대표적 관문인 커리지 매치의 경쟁률에 대해 못을 박아 두겠다.

역시 Esforce 기사의 한 부분이다.
-------------------------------------------------------
한빛스타즈 만년연습생 노준동, 10전11기 커리지매치 도전기

이 감독이 커리지 매치도 통과 못하는 선수를 1년씩이나 잡아 둔 이유는 두 가지다. 첫째는 실력이다. 날고 긴다는 선배들을 심심치않게 물 먹인다는 것이다. 팀내 성적은 단연 세 손가락 안이다. 두 번째는 훈련자세다. 마치 연습벌레로 소문난 박성준을 보는 듯한 느낌이다(실제 외모부터 박성준 ‘과’로 분류되고 있다). 외모는 전혀 신경을 쓰지 않는다. 그저 시간 나면 연습, 지고는 못하는 성격 등이 맘에 들었다.
이 감독은 “고생한 선수에겐 반드시 그 대가가 돌아온다”는 믿음을 갖고 있다. 때문에 사실 떨어져도 잡을 생각이었다. 현행 커리지 매치가 평균 64대1이란 경쟁률을 뚫고 올라와야 하는 까닭에 맵이나 종족상성만 잘못 걸려도 떨어져버리는 맹점이 있기 때문이었다.
-------------------------------------------------------

뭐, 64:1정도야 별 것 아니라구? 프로게이머에게 꿈의 자리인 온게임넷의 스타리그와 MBC게임의 Mbc Starcraft League(아래 MSL)에 오르는 것은 더욱 바늘구멍이다.

스타리그를 예로 들어서 그 처절함을 철저하게 설명해 주겠다.


  PC방 예선 110명
듀얼 토너먼트 지난스타리그 7~24위 입상자(18명) 18명+PC방예선통과자(18명)
  스타리그 듀얼토너먼트의 절반인원(24명) 통과

 

저작권자 © 연세춘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