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도 더 이상 마약으로부터 안전하지 않다. 유명 연예인의 마약류 투약 혐의와 대치동 학원가에서의 마약 음료사건 등 마약에 대한 보도가 끊이질 않는다. 지난 2022년 검거된 마약사범은 18395명으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10대 마약 사범은 2017119명에서 2022481명으로 약 3배 이상 증가했다. 마약을 구매하는 것 자체가 과거에 비해 매우 쉬워졌다. 과거에는 마약을 파는 자와 사는 자가 어떤 식으로든 서로 접촉해야 했다. 직접 접촉의 위험을 감수해야 마약을 팔고 살 수 있다는 상황 자체가 어느 정도 마약 확산 억제의 요인이 되기도 했다. 그러나 이제는 텔레그램 같은 온라인상에서 마약 거래를 위한 접촉이 익명으로 가능하다. 금전 거래는 비트코인 방식으로 역시 익명으로 수행된다. 마약을 전달하는 것은 소위 던지기 수법으로 이뤄져서 마약 판매자와 구매자 사이의 직접 접촉 자체가 필요 없게 됐다.

여성가족부는 지난 59·변종 유해환경으로부터 청소년 보호 강화 방안을 발표했다. 방안에서는 마약과 관련된 내용이 중요한 부분을 차지했다. 여가부는 마약류 등 유해 약물의 청소년 대상 유통을 차단하고, 중독 청소년에 대한 치유 지원을 확대하겠다고 했다. 학교 및 학원 주변에서 마약 음료 제공 행위에 대해 경찰력을 총동원해 순찰 및 단속을 집중 실시하고, 청소년을 마약 운반책으로 유입하거나 마약 구입을 유도하는 소셜미디어 게시글에 대해서는 엄정 대처하겠다고 했다. 청소년의 마약류 노출 및 중독현황 등에 대한 실태조사와 더불어 치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그램들을 체계화하겠다는 계획도 선포했다. 관련된 예방 교육을 강조하기도 했고, 마약과 관련한 통합정보제공 온라인 플랫폼을 구축하겠다고 했다. 여가부의 이런 조치는 꼭 필요한 것이다.

마약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청소년 등 취약 계층이 마약에 노출되지 않도록 정부가 단속을 강화하고, 예방 교육을 시행하는 것도 필요하지만 그것만이 능사는 아니다. 정부뿐 아니라 시민들 모두가 중독자의 재활과 재발 방지, 사회 적응을 위한 훈련 등 세밀한 관리 체계를 통해 마약 범죄를 근절할 수 있도록 함께 노력해야 한다. 마약 범죄의 사전 예방과 처단을 위한 단속 강화뿐 아니라 예방과 치료, 보호, 중독자에 대한 사회 인식 개선 등을 위한 노력에 사회 전체가 함께 해야 한다. 거기에는 대학도 예외가 아니다. 대학 차원에서의 마약 대책도 신속히 나와야 한다.

 
저작권자 © 연세춘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