벚꽃 피는 순서대로 대학이 망한다는 말은 지방대의 위기를 시사하는 말이다. 남쪽에 있는 지방대부터 차례대로 위기에 직면하기 때문이다. 지난 1월 통계청이 발표한 ‘2022년 국내인구 이동통계 결과를 보면, 20~29살 인구의 유출이 가장 많은 곳이 경남(166천 명)이었다. 지역 청년들이 일자리를 찾아 지역을 이탈하자 지방대학도 변화에 발맞추어 재편하는 추세다. 경남의 한 대학은 2021년 작업치료학과, 2022년 보건의료정보학과 등 보건계열 학과를 신설했고, 대신 한국어문학과, 영어학과, 사회학과, 조선해양시스템공학과 등 6개 학과 신입생 모집을 중단했다. 2023년에는 중국학과, 환경에너지학과도 신입생 모집을 중단하면서 취업에 유리한 스마트기계융합공학과 등 4개 학과를 신설했다. 대학의 기능 중 하나가 미래 사회에 기여할 인력을 양성한다는 측면에서 보면 일자리는 대학의 생존을 위한 중요한 요소임에 틀림없다.

지방대학의 위기는 그 주변 지역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 대학을 기반으로 경제생활을 영위하는 이들의 생존이 위협받기 때문이다. 지역 균형발전을 위해서도 지방대가 차례차례 문을 닫고 사라지는 것은 막아야 할 일이다. 지역 균형발전이 필요한 이유는 인구밀도가 높은 우리나라에서 좁은 땅에 많은 인구가 밀집될 경우 주거비 상승 등 각종 사회문제 발생이 증가할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우리나라의 세계 최저 출생율과 인구감소추세를 감안하면 지방대의 위기로 시작된 이 문제는 머지않아 수도권 대학의 위기라는 더욱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될 가능성이 있다.

한편, 정부는 지역산업과 연계된 특성화 대학 양성에 많은 예산을 투입하기로 했다. 변화하는 산업적 추세에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전략이겠지만 향후 미래를 정확하게 예측하기는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대학은 학문 간 융합을 통해 통합적 인재 양성을 위한 다양한 노력과 준비가 필요하다. 또한 국가의 정책도 이를 뒷받침하는 창의적 인재양성을 지원해야 한다. 이와 더불어 지자체와 국가는 기존에 계획했던 지역균형발전계획을 적극 실행해야 한다. 국가행정기관, 연구 단위 지방 이전과 함께 지역산업 활성화를 위한 실질적 지원과 사회 인프라를 실질적으로 구축해야 한다. 지역이 살기 좋은 환경이 될 때 우리 청년은 지역대학에서 교육받고, 지역에서 취업하고, 지역에서 삶의 행복을 설계하는 선순환이 이루어질 것이다.

저작권자 © 연세춘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