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86호 김도형 교수 칼럼에 대한 반론

3월 말 교과서포럼이 지은 한국 근현대사 대안교과서(이하 본서)가 나온 후 논쟁이 뜨겁다. 지난호 연세춘추(1586호)에는 김도형 교수의 “역사를 거꾸로 돌린 대안교과서”라는 제목의 칼럼이 게재됐다. 이에 집필자 중 한 사람인 필자는 주요 쟁점에 대해 본서의 취지를 설명한다.

주요 쟁점 중 하나는 식민지배를 미화했다는 것이다. 분명 본서는 산미증산계획 군수공업화정책 등을 집행해 일제가 한국사회에 제도와 규율 등에서 근대성이 도입이라는 일종의 선한 결과도 남겼다고 썼다. 문제는 이 대목을 ‘조건반사적’으로 ‘일제가 선한 의지를 갖고 한국을 통치했다’는 것으로 오인한 데 있다.

그러나 상당 부분의 역사는 의도하지 않은 결과라는 점을 강조하고 싶다. 한 예로 김일성이 남침할 때 그것이 한국에 60만의 근대화된 조직을 낳고 한미상호방위조약을 체결해 선진국의 품으로 몰아넣고 첨예한 안보위기의식을 격발시켜 한국의 근대화를 추동하는 강력한 힘을 창출해내는 계기가 되지 않았는가.

또 다른 쟁점은 역시 김 교수도 지적했듯 (이승만 박정희)독재시대를 찬양했다는 것이다. 대개의 기존 역사서는 현대사를 민주 반민주 구도로 인식한다. 따라서 민주주의 실천에 실패한 모든 인물과 행위는 악으로 평가된다. 그러나 당시 한국은 좌파의 도전을 분쇄해 국가 체제를 확립하고 6.25의 재발을 막고 최빈국의 굴레에서 생존권을 위협받는 국민을 구해야 했던 사실을 직시해야 한다.

본서는 이승만은 단독정부수립이 불가피하다는 걸 일찍 알고 탁월한 국제감각으로 자유주의 원칙에 기반해 국가건설을 주도했고 박정희는 지도력을 발휘해 근대화를 이뤄 당시 캄보디아 수준이었던 한국을 중진국 반열에 올려 놨다는 점에도 주목했다. 박정희 당시의 산업화는 국민의 후생 향상과 함께 자주국방과 통일 민주주의의 토대를 놓는 작업이기도 했다. 

 또 다른 쟁점은 지나친 우경화다. 본서는 분명 좌파적 시각에서 보면 이승만과 박정희를 재평가하고 북한체제의 반인류성을 지적했기에 우경화된 저술이다. 그러나 한국도 극히 단순화하면 근대국가가 보편적으로 밟아가는 국가건설, 산업화, 민주화의 경로를 거쳐 발전했다는 사실을 조명한 것이므로 역사를 정면에서 응시한 결과물이다.

최근에는 북한의 노동신문과 중앙방송도 본서에 대해 논평했다. 예의 선동적 언어로 채색된 이들 논평에 주목할 것은 없다. 한가지 답할 것은 본서를 한국의 정치정세변화와 연동돼 출판된 것으로 비난하는 점이다. 5.16부터의 정치사 부분을 집필한 필자는 ‘5.16과 근대화사이의 적극적 연계’라는 명제를 이미90년대 초 발표했다. 다른 집필자들도 20년 넘게 연구업적을 축적해왔다. 또 3년 전에 시작한 간행작업이 우연히 이 시점에서 마무리된 것이다.

/김세중 교수(정경대학·국제관계학)

저작권자 © 연세춘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