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마트 의무휴업일, 일요일로 유지해야

김서하(QRM/사회·20)
김서하(QRM/사회·20)

대구·청주·서울에 이어 여러 지자체에서 대형마트 의무휴업 평일 전환에 속도를 내고 있다. 지난 11일엔 부산시가 대형마트 의무 휴업일을 평일로 바꾸겠다고 밝혔다. 이는 대형마트 일요일 의무휴업이 되려 전통시장 매출 감소로 이어진다는 연구 결과에서 비롯된 판단이다. 실제로 서울신용보증재단의 「대형마트 의무휴업일에 따른 주변 상권 유동인구와 매출 변화 연구 결과」, 한국유통학회의 「대구시 의무휴업일 분석 결과」 등에서는 카드 내역을 활용한 의무휴업 전후 전통시장 매출 변화 분석으로 이를 확인했다. 

그러나 신용카드 빅데이터만을 활용한 기존 연구로는 제도의 실효성을 판단하기 어렵다. 중소벤처기업부 홈페이지에 게재된 정책연구 보고서 「온누리상품권 경제적 효과 분석 및 제도 개선방안 연구」에 따르면 지난 2020년 기준 전통시장 상점 내에서 신용카드 거래는 전체의 65.2%, 현금 거래는 27.4%, 온누리상품권은 2.1% 정도를 차지한다. 즉, 전통시장에서 물건을 구매하는 사람 3명 중 1명은 신용카드가 아닌 다른 결제 수단을 이용한다. 기존 연구는 이러한 결제수단의 다양성을 간과한 채 신용카드 빅데이터만으로 결론을 도출했다. 제도의 실효성을 정확히 파악하려면 실제 전통시장의 특성을 고려한 연구가 선행돼야 한다. 

더군다나 대형마트 평일 의무휴업은 마트 노동자들의 쉴 권리와 건강권을 침범한다. 마트 노동자들은 보통 한 달에 두 번 쉬는 일요일에 가족들과 시간을 보낸다. 이마저 사라지면 마트 노동자들은 가족과 사회로부터 소외될 가능성도 커진다. 실제로 한국노동안전보건연구소가 지난 2023년 12월에 발표한 「마트 의무휴업일 변경에 따른 노동자의 건강과 삶 실태조사」에 따르면 충북 청주시에서 마트 의무휴업일을 평일로 변경한 이후 일요일 근무 횟수 3회 이상인 노동자의 비율은 30%에서 75%로 2배 넘게 증가했고, 워라밸 불만족도는 70%에서 96%로 증가했다. “신체적 피로가 늘었다”는 응답은 84.4%, “정신적 피로가 늘었다”는 응답은 78.8%에 달했다. 그럼에도 마트 노동자의 쉴 권리를 보장하기 위한 방안은 미비하다. 

대형마트 의무휴업 평일 전환을 둘러싼 논의는 숫자를 중심으로 흘러간다. 대부분의 연구는 일요일 의무휴업 이후 대형마트와 전통시장의 매출이 얼마나 바뀌었는지에 주목한다. 그러나 현재는 그 수치가 불완전할뿐더러, 숫자에 가려진 노동자들의 목소리는 들리지 않는다. 대형마트 의무휴업 평일 전환을 노동자의 관점에서 재고해야 한다. 

저작권자 © 연세춘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