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수학교 설립에 반대하는 주민들에게 장애인 자녀를 가진 학부모들이 꿇어 앉아 절을 올렸다는 기사가 매스컴을 탄지 5년이 지났다. 경제적 손해와 자녀 교육에 있어서 혹시 일어날 수도 있는 사소한 문제를 미리 없애려는 게 특수학교 설립을 반대하려는 학부모들의 생각일 것이다. 2017년 9월 서울 강서구에서 벌어진 일이 잘 보여줬듯이 장애인과 장애인 가족들에 대한 편견은 아직 우리 사회에 남아 있다. 

장애인을 바라보는 비장애인들의 태도는 이중적인 경우가 많다. 운동을 하다 다리를 다쳐서 수주일간 캐스트를 하고 있는 경우는 장애인이라 여기지 않지만 신체 일부가 상실된 경우는 장애인이라 여기는 것이다. 장애인도 비장애인과 똑같이 역할을 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기회조차 제대로 부여하지 않는 경우도 있고, 장애인들이 대중교통을 쉽게 이용하게 해 달라고 할 때 내가 출퇴근하는 시간은 피해 달라고 요구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장애인들이 비장애인들과 불편 없이 함께 살 수 있는 사회를 만드는 것은 국민이면 누구나 당연히 누릴 교육을 받고, 의료보험에 가입하고, 최소한의 먹을 것을 보장받는 것과 같은 기본 복지에 해당한다. 오래 전에는 포로를 마구 학대해도 문제가 없었지만 지금은 인권유린에 해당하는 것처럼 사회가 발전하면서 기본적으로 지켜야 할 일의 하나가 되었기 때문이다. 

사용자가 별로 없는 곳에도 장애인의 통행을 위한 경사로나 엘리베이터를 설치하는 일이 전보다 보편화하고 있다. 비장애인 누구나 한순간에 장애인이 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모두를 사회의 구성원으로 받아들인다면 현재의 사회복지서비스를 계속 개선해가야 한다. 장애인과 그 가족으로 살아가는 것이 아무 불편함이 없도록 사회는 모든 구성원들을 돌봐주어야 선진사회이고, 복지사회라 할 수 있다. 장애인의 부모가 부모, 간병인, 교사, 의료인의 역할까지 다중으로 수행하지 않고 장애인을 사회구성원으로 키울 수 있도록 정부와 사회가 나서야 한다. 사회 구석구석에 손길이 덜 닿는 곳 없이 장애인들이 비장애인들과 함께 어울려 살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우리 모두의 관심과 함께 중증장애인을 위한 의료돌봄체계를 강화하는 제도적 뒷받침이 필요하다.

저작권자 © 연세춘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