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정부의 출범을 목전에 둔 요즘, 장관 후보자들의 ‘부모 찬스’ 의혹이 인사청문회를 뜨겁게 달구고 있다. 더욱이 대학 교수들이 미성년 자녀나 동료 교수 자녀를 논문 공저자로 부당하게 끼워 넣은 사례가 여럿 적발되자 연일 대학 입시의 공정성 논란이 커지고 있다.

대학진학률이 80%를 넘어서는 한국 사회에선 대학 입시가 이후 인생에 결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믿음이 지배적이다. 따라서 대학 입시의 의혹에 온 국민의 관심이 집중되는 것은 그리 놀라운 일이 아니다. 이런 까닭에 잊을 만하면 불거지는 이런 공정성 논란에 깊은 좌절과 분노를 느끼게 한다.

노력만 하면 기회가 주어지고 성공할 수 있다는 희망을 빗댄 ‘개천에서 용 난다’는 속담은 이미 옛말이 된 지 오래다. 한국 사회에 부모의 사회적 지위와 부를 기반으로 부와 명예가 대물림되는 불평등이 더 심해지는 것은 아닌지 우려스럽다. 만일 이런 공정성 논란이 단순히 입시제도 자체의 문제가 아니라 우리나라의 사회구조적인 문제가 입시제도에 반영돼 나타난 것에 불과하다면 더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할 것이다.

공정성 논란의 씨앗을 없애고 평등한 경쟁의 기회를 얻기 위해 과거처럼 획일화된 입시제도를 도입하는 것은 대책이 될 수 없다. 섣부른 입시제도의 개정도 능사가 아니다. 입시제도가 자주 바뀔수록 정보에 빠른 상위 계층이 유리할 게 뻔하기 때문이다.

새 정부 그리고 차기 교육부 장관 앞에 놓인 대학 입시의 공정성 과제는 실로 막중하다. 이런 상황에서 입시 비리의 경우 교육부의 힘만으로 해결하기 어려운 만큼 별도의 전담 기구가 필요하다는 유은혜 교육부 장관의 퇴임을 앞둔 충고를 귀담아 둘 필요가 있다. 부모의 재력이 자녀의 학력과 소득으로 대물림되지 않는 세상을 만들기 위해 적어도 ‘부모 찬스’와 같은 입시 비리는 뿌리 뽑아야 하지 않을까.

저작권자 © 연세춘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