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2월 미얀마 군부는 쿠데타를 통해 아웅산 수치 정권으로부터 권력을 찬탈했다. 민주주의는 말살됐고 지속되는 학살과 공습으로 최소 1,600 명 이상이 숨졌다. 수 만 명이 불법 구속됐고 난민도 증가하고 있다. 군부가 자국민을 상대로 전쟁을 수행 중인 것이다.

미얀마 사태에 대한 국제사회의 대응은 아직 해결책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미국과 중국 등 강대국의 이해관계로 인해 유엔의 대응도 한계가 명확하다. 동남아시아 10개국으로 구성된 아세안이 제한적으로나마 미얀마 사태에 관여해왔다. 아세안은 지난해 4월 미얀마 군부 지도자를 포함한 ‘지도자 회의’를 개최하고 평화정착을 위한 5개 사항에 합의했다. 10월 개최된 아세안 정상회의에 미얀마 군부 참석을 배제하는 등 미얀마 군부를 정부 대표로 인정하지 않고 있다. 그러나 군부는 합의 사항 이행을 거부하며 탄압을 계속하고 있다. 최근 아세안특사 자격으로 미얀마를 방문한 쁘락 소콘 캄보디아 외무장관은 미얀마 문제 해결에 오랜 시간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캄보디아 권위주의 정부가 아세안 의장국을 수행하는 올해는 의미있는 변화를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결국 각국 정부를 움직일 수 있는 것은 국제여론이다. 그간 세계의 다양한 시민단체는 미얀마 시민과 연대하며 즉각적인 학살 중단과 민주주의 회복을 요구해 왔다. 오랜 군부 통치 끝에 2015년 어렵게 이룬 민주주의의 붕괴를 막기 위해 미얀마 시민은 자발적 불복종 운동으로 군부에 저항하고 있다. 불복종 운동은 군정종식 뿐만 아니라 그간 묵인됐던 소수종족 차별과 탄압의 철폐를 목표로 하고 있다. 이러한 시민 불복종 운동은 노벨 평화상 후보에 올랐다. 세계의 시민들도 미얀마의 상황을 알리고 군부의 만행을 규탄하는 한편, 미얀마 시민에게 다양한 지원을 제공해왔다. 무엇보다 군부의 통치 자금줄을 차단하고자 미얀마 군부와 협력하던 외국 기업의 투자 철회를 요구했다. 미국, 유럽, 일본, 싱가포르, 말레이시아의 가스 및 석유 관련 기업들이 미얀마 투자를 철회하거나 철수할 계획이다.

오랜 민주화 투쟁을 경험한 한국의 일반시민, 시민단체와 정부는 미얀마의 민주화운동을 지지해왔다. 그러나 미얀마 사태가 장기화됨에 따라 언론의 관심도 줄어들고 있다. 한국의 포스코인터내셔널은 아직 슈에가스전 사업을 지속하며 국제사회의 움직임에 동참하지 않고 있다. 미얀마 시민의 희생을 대가로 얻는 이익을 거부함으로써 미얀마 민주화에 기여할 기회로 삼아야 한다. 세계시민으로서 현재 진행 중인 미얀마 민주화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연대가 더욱 절실한 상황이다.

저작권자 © 연세춘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