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류는 우리들의 손주들이 불행할 수도 있는 미래를 만드는 듯하다. 기후변화로 식량, 물, 안보, 그리고 경제를 포함해 인간의 사회 구조와 생명 지지 기반이 위태롭다는 IPCC* 6차 ‘기후변화의 영향·적응·취약성’ 보고서가 그러한 미래를 경고하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지 못하면 농업, 어업, 제조업 등 산업 전반에 타격을 받는다. 농업은 열파 등의 영향으로 노동력과 생산량이 모두 감소될 수 있고 어류 생산량은 2010~2030년과 비교할 때 2030~2050년에 49% 감소가 예상된다. 또한 지구 온도가 5도 오르면 최대 60%의 생물 종이 멸종할 위기에 처할 것으로 예측했다.

우리나라의 경우 온열 관련 사망자는 2050년 4%, 2090년에는 8%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극단적인 기상 이변, 폭염, 질병 확산으로 인해 건강 악화나 조기 사망하는 경우가 매우 증가할 수도 있다. 불안, 스트레스 등 정신 건강은 특히 아동, 청소년, 노인, 기저 질환자에게 악영향을 미칠 수가 있다. 아울러 한국은 기후변화로 발생하는 잦은 태풍에 의한 연간 손실액이 가장 큰 10개국 중 하나로 예상되며, 세계 주요 도시 중 서울이 홍수 위협이 가장 큰 곳 중 하나라고 예측됐다.

탄소 배출 저감을 위한 정부의 정책이나 주요 정당의 온실가스 관련 대선 공약은 화석 연료를 줄이고 재생에너지나 저탄소 에너지 사용을 증가시키는 데 초점을 두고 있다. 2019년 환경부 자료에 의하면 2017년에서 2019년 사이에 우리나라에서 배출한 온실가스 배출량 대부분은 에너지 분야에서 나온다. 이에 따라 탄소 절감 대책은 태양광과 풍력 발전, 소형 원전, 수소 및 전기 자동차 또는 e-fuel 등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석탄 발전 폐지를 앞당기고 탄소 중립을 이루겠다는 방향으로 제시되고 있다. 이와 더불어 탄소 포집 및 저장기술의 확보도 중요한 기술적 과제 중 하나다. 온실가스는 화석 연료뿐 아니라 무분별한 토지 개발과 토지 이용 변경 등의 부문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 토지 부문은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의  25%를 차지할 정도로 중요한 배출원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식물을 통해 온실가스흡수원으로 작용할 수 있는 간과할 수 없는 생태계 물질순환의 균형자다.

현재의 정책 방향이나 국민의 인식 수준이라면 다음 세대가 기후 위기를 그대로 직면하면서 돌이킬 수 없는 피해를 본다는 것은 명약관화하다. 유럽연합은 생산단계부터 저탄소 방식을 활용하지 않은 제품에 탄소국경조정제도를 통해 고율의 관세를 부과하는 정책을 2023년부터 시행할 예정이다. 또한 탄소배출권을 사고파는 것도 기업과 국가의 주요한 경제 전략적 도구가 돼가고 있다. 따라서 우리는 이번 IPCC 보고서를 계기로 탄소 절감과 포집 기술의 확보가 인류 건강과 국가 경쟁력의 핵심이 돼간다는 현실을 인식하고 적절한 정책 수립과 지속적인 실행을 통해 기후 위기에 대응할 새로운 전기를 만들어갈 필요가 있다.

 

* IPCC: 세계기상기구(WMO)와 유엔환경계획(UNEP)이 1988년 공동 설립한 국제협의체인 기후변

저작권자 © 연세춘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