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아래 전장연)는 지난해 12월부터 서울 지역에서 장애인 이동권 보장을 요구하며 출근길 지하철 승하차 시위를 벌였다. 2001년 장애인 노부부가 경기도 시흥시 오이도역에서 장애인리프트를 이용하다가 추락한 일이 있었다. 이 사건을 계기로 장애인들은 이동권 확보를 위한 투쟁을 본격화했다. 오이도역 사건 후 20여 년이 지났지만 장애인 이동권 측면에서 우리 사회는 여전히 후진적 수준에 머물러 있다. 오이도역 사건 후 교통약자이동편의증진법이 제정됐다. 하지만 저상버스 확대, 지하철역 엘리베이터 설치, 장애인 콜택시 확장의 수준은 장애인들의 이동권 보장이라는 기준을 놓고 볼 때 여전히 낮은 형편이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난해 말 교통약자이동편의증진법 개정안이 국회를 통과했다. 하지만 국가 예산 사용이 의무가 아닌 임의 조항으로 남아 있는 등의 문제 때문에 장애인들은 이 개정안의 실현 가능성을 받아들이지 못하고 시위에 나섰다. 시위를 주도한 전장연은 대선 후보들과 기획재정부가 시행령 개정을 통해 장애인 이동권 예산 근거를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전장연의 시위는 그 방식 때문에 사회적 갈등을 초래하기도 했다. 교통 약자인 장애인들의 시위가 지하철로 출근해야 하는 또 다른 사회적 약자들과의 갈등으로 변질될 수 있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장애인들의 시위에 대한 일부 사람들의 반대가 그 정도를 넘어서는 경우도 있었다. 지난 215일 전장연 홈페이지가 사이버 공격을 받았다. 단체의 서버가 다운됐고, 구글 드라이브 파일이 삭제됐다. 전장연 박경석 대표는 "장애인 활동가가 모르는 사람에게 폭언과 협박을 당했다, 전장연 사무실로 찾아와 불을 지르겠다고 협박하는 시민도 있었다. 기자회견을 알리는 페이스북 라이브는 모욕적인 댓글로 가득하다"라고 전했다. 시위에 대한 불편감이 '장애인 혐오 여론으로까지 번질 수 있다는 우려도 커지고 있다. 서울시장애인자립생활센터협의회 이형숙 회장은 이를 두고 "사실 내면에 잠재된 거다. 장애인을 바라보는 왜곡된 시각들이 표출되는 것"이라 지적했다. 장애인 이동권에 대한 사회적 이해와 공감이 커져야 한다. 전장연의 이번 시위를 국회, 정부, 언론, 대선 후보, 일반 시민 모두가 장애인들의 이동권 문제를 우리 사회 중요한 의제로 인식하는 계기로 만들어야 한다.

 
 
저작권자 © 연세춘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