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야흐로 본격적인 대선 정국이다. 여야 대선 후보들이 확정됨에 따라 공약을 속속 발표하고 있다. 후보자들이 민심을 얻기 위해 공을 많이 들이는 대선공약 가운데 하나가 청년 정책이다. 다른 연령대보다 청년 부동층이 제일 많다는 여론 조사 결과도 있지만, 청년층은 지금 가장 고통받는 집단으로 여겨지기 때문이다. 

실제로 청년층의 고통은 매우 심각한 수준에 이른 것으로 나타난다. 특히, 취업난과 창업 실패, 부채 증가 등으로 인한 경제적 고통이 매우 크다. 이것은 지난 14일 발표한 한국경제연구원의 ‘세대별 체감 경제고통지수’ 조사에서도 여실히 드러났다. 체감 경제고통지수는 체감실업률과 물가 상승률을 더한 수치로 경제적 삶의 질을 측정하는 지표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2021년 상반기 기준 청년층(15~29세)의 체감 경제고통지수는 27.2로, 60대 18.8, 50대 14.0, 30대 13.6, 40대 11.5와 비교해 가장 높았다. 그뿐만 아니라, 2015년 22.2, 2017년 24.6, 2019년 23.3에 비해서도 크게 상승했다. 한국경제연구원은 높은 청년 실업률이 이 같은 결과의 원인이라고 분석했다.

청년층을 더욱 고통스럽게 만드는 건 미래 전망조차 그리 밝지 않다는 데 있다. 사상 처음으로 부모보다 경제적으로 못 사는 세대가 될 것이라고들 말한다. 이미 벌어진 소득격차와 불평등 속에서 ‘개천에서 용 나는’ 희망을 박탈당하고 있다. 이것이 청년층이 공정한 기회를 원하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빚을 내서라도 가상화폐와 주식에 투자하는 이유가 되기도 한다.

차기 대통령은 청년 문제를 해결하여 우리나라의 미래를 열어갈 중대한 갈림길에 서 있다. 기존 청년 정책의 기본골격 위에서든 아니면 완전히 새판을 짜서든, 대선 주자들은 청년층에게 새로운 희망을 보여줄 실효성 있는 공약을 제시해야 한다. 그러나 후보자들은 ‘캐스팅 보터’로 떠오른 청년들의 환심을 사려고만 노력하는 것으로 보인다. 현금 지원, 세금 유예, 주택 제공 등에 초점을 맞추고 있을 뿐, 정작 청년 세대가 희망을 가지고 사회로 진출할 수 있도록 양질의 일자리 창출과 같은 계획에 대해서는 별다른 정책을 내놓지 않고 있다. 대선 주자들은 그저 선심성의 사탕발림 공약으로 득표만을 노리는 현금성 전략이 아닌, 진정 청년층을 위한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그래서 청년들이 건전하게 일하며 건강하게 사회에 참여해 우리나라의 주축으로 성장하도록 이끌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청년층의 표심도 잡지 못할 뿐 아니라 대한민국의 미래도 밝힐 수 없다. 

저작권자 © 연세춘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