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120, 우리나라에 첫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아래 코로나19) 환자가 발생한 후 한 달이 지나도록 매일 소수의 환자가 발생하자 교육부가 3월 개학을 2주 미루자는 결정을 했다. 그때만 해도 조금만 노력하면 사스나 메르스 유행 때 그랬던 것처럼 오래지 않아 일상으로 돌아갈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가 있었다. 그러나 세계보건기구에서 세계적으로 전염병이 확산했음을 의미하는 팬데믹으로 선언할 정도로 코로나19 환자는 계속해서 늘어났다. 어느새 코로나19가 전세계에 새로운 경험을 안겨준 지 2년이 다 되고 있다.

다행히 1년이 지날 무렵, 여러 회사에서 제조한 백신이 시판되기 시작했다. 치명률도 초기보다는 점점 낮아지고 있는 추세다. 다른 나라보다 백신 도입이 늦기는 했지만, 정부와 국민이 함께 노력한 결과 이제는 우리나라의 백신접종률이 세계 5위에 이를 정도로 잘 이뤄지고 있다. 코로나19가 우리 사회를 혼란에 빠뜨린 동안 자영업자들이 큰 피해를 입는 등 경제에 미친 영향이 컸으므로 빨리 경제를 회복하기 위해서는 일상으로 돌아가야 한다.

이를 위한 방법의 일환으로 정부는 지난 1일부터 백신패스를 도입했다. 백신패스는 고위험시설과 일부 시설 방문 시 코로나19 예방접종을 완료했다는 증명서를 지참하거나 48시간 이내에 PCR 검사에서 음성을 받은 진단서를 지참하는 경우 이용상의 혜택을 주는 제도다. 정부는 코로나19 유행으로부터 일상 회복을 앞당기기 위해선 백신패스 도입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인권단체는 백신 접종률이 낮은 집단이 대부분 사회적 약자들이므로 이들에 대한 충분한 지원이 뒷받침돼야 한다고 주장한다.

코로나19로부터 근본적으로 해방이 되려면 빠른 시일 내에 집단면역이 이루어져야 하고, 이를 위해 가장 좋은 방법은 모든 사람이 백신을 맞는 것이다. 다른 나라에 비하면 백신을 거부하는 사람이 적기는 하지만 분명 존재하고 있으므로 뜻이 있으면서도 접근성의 문제로 백신을 접종받지 못하고 있는 노숙인들이나 장애인처럼 백신 사각지대에 놓은 이들에 대한 백신접종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백신패스 도입은 이들이 지금보다 더 사회생활에 어려움을 가질 가능성이 있고, 이를 해결하지 못하면 전 국민의 집단면역 달성도 더 늦어질 것이기 때문이다. 찾아가는 서비스와 같이 백신 사각지대에 놓인 이들을 위한 실질적인 지원책 마련이 요구된다.

 
저작권자 © 연세춘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