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포소방서의 아침은 교대점검으로 시작된다. 
누군가에겐 하루의 마무리고 
다른 누군가에겐 새로운 하루의 시작이다.

장비점검을 하는 화재진압·구급·구조 대원

그동안 소방관들은 격일로 24시간 근무했다. 서대문소방서 박성규 소방위는 “현장 출동이 주 업무이기에 출근하지 않는 15일 중 5~10일은 추가업무를 해야 했다”며 “직장생활 외 개인적 시간을 갖기 어려웠다”고 말했다. 지난 2009년부터 수도권을 중심으로 3교대 근무체계가 추진됐다. 현재 이들은 세 교대로 번갈아 가며 야간 근무를 하고 있다.

그동안 소방관들은 격일로 24시간 근무했다.

그러나 모든 소방서에서 이런 노동환경 개선이 가능한 것은 아니다. 수도권 밖 소방서는 인력 부족으로 몸살을 앓고 있다. 2017년 기준 강원도 내 소방인력은 2천 612명으로 3교대를 위한 법정 필요 인력 4천 431명의 59%에 불과하다. 인력 부족 문제는 생사를 가르는 출동에도 영향을 끼친다. 청주 동부소방서의 한 소방관은 “최소 출동 인원이 10명이라면 대부분 6명밖에 없는 실정”이라며 “인력이 매우 부족하다”고 말했다.

소방재난본부에서 사건을 이전 받으면 상황실은 즉시 출동 벨을 울려 소방대원들에게 상황을 알린다.

지역 간 소방인력의 격차를 줄이는 방안으로 소방공무원 신분의 국가직 전환이 제시된다. 국가가 일원화된 책임의 주체가 돼 각 지역에 필요한 인력을 보장하는 게 제도의 목표다. 소방공무원 국가직 전환을 담은 법률안이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안건조정위원회를 통과했다. 소방관들은 국가직 전환이 마냥 달갑지만은 않다. 박 소방위는 “국가직 전환에 따른 과도기적 문제가 많이 예상된다”며 “그래도 지금의 인력 격차가 많이 줄어들 것”이라 말했다.

소방관 국가직 전환에 대한 논의는 2009년부터 10년 넘게 계속됐다.

10년을 끌어온 논의의 물꼬가 터졌다. 하지만 소방공무원의 신분 변화가 처우 개선의 전부는 아니다. 이 법률안은 실질적 처우 개선을 향한 첫 발걸음에 불과하다. 그 발걸음이 결승선까지 이어지기 위해 모두의 관심이 필요하다.

 

양하림 기자
dakharim0129@yonsei.ac.kr
박민진 기자
katarina@yonsei.ac.kr

저작권자 © 연세춘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