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 파리에서 11월 30일부터 개최되는 UN기후변화협약 21차 총회를 앞두고 지구촌에는 폭풍 전야와 같은 긴장감이 감돌고 있다. 1992년 기후변화협약이 체결된 후 현재까지 지구의 기후변화 대응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이 교토의정서라고 하면, 파리총회에서 결정될 ‘파리체제’가 앞으로 전 지구의 기후변화 대응을 좌우하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교토체제’에서는 일부 선진국에만 온실가스 감축의무가 있었으나, ‘파리체제’부터는 선진국은 물론이고 개도국을 포함한 전 세계 모든 나라가 동참하게 되므로 그 중요성이 훨씬 커지고 있다. 

 파리총회를 앞두고 개최국인 프랑스의 프랑수아 올랭드 대통령이 우리나라를 방문하였다. 올랭드 대통령은 방문 두 번째 날인 11월 4일‘기후변화와 녹색성장’을 주제로 양국의 장관급 인사와 기후변화대사가 참여하는 라운드테이블을 주관하였다. 여기서 올랭드 대통령은 “파리총회를 통해, 녹색성장을 위한 신기술 사용과, 재생에너지, 에너지 관련 인프라, 에너지 이전문제 등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최양희 미래부장관도 이 자리에서 태양전지, 바이오연료, 수소연료전지, 이차전지, 전력 IT, CCS 등 온실가스 감축효과가 큰 ‘6대 핵심기술’의 개발전략을 발표하고, 프랑스와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기술협력을 더욱 확대하기를 희망한다고 화답하였다. 
 
‘녹색성장’은 녹색기술과 청정에너지를 신성장 동력으로 하여 일자리를 창출하고 온실가스와 환경오염을 줄이는 지속가능한 성장을 의미한다. 녹색성장을 이루기 위해서는 기술혁신이 전제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R&D, 실용화 등에 상당한 자금과 인력, 시간 등이 투입되어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세계 7위의 온실가스 다배출국가로서, 에너지다소비 산업구조를 갖고 있는 우리나라로서는 ‘녹색성장’이 유일한 대안이자 최선의 선택이라 할 수 있다. 녹색성장에 IT를 접목하고 기업과의 협업을 통하여 실용화를 강화하면, 그것이 바로 현 정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창조경제’이다. 즉, ‘창조경제’의 ‘녹색성장’의 업그레이드 버전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기후변화는 장기간에 걸쳐 일어나므로 그 위험성을 체감하지 못하고 있으나, 기후변화가 사실이며 점점 심해지고 있다는 것이 정설이다. 우리나라도 기후변화의 예외 국가가 아니며, 경제규모, 온실가스 배출량 등 여러 면으로  기후변화 대응 압력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기후변화 대응은 흔히 산업체만 하여야 하는 것으로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지만, 도시의 경우에는 온실가스의 90% 이상이, 나라 전체로도 절반 가까이 국민들의 생활과 밀접한 교통, 냉난방 등에서 배출되고 있으므로 기후변화 대응에는 정부, 기업뿐만 아니라 전 국민이 동참하여야 한다. 그래야 비로소 우리나라의 온실가스 배출도 줄어들기 시작할 것이고, 전 지구적인 기후변화 대응에도 동참할 수 있을 것이다. 녹색성장과 기후변화 대응은 동전의 앞뒷면과 같다.
저작권자 © 연세춘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