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아프리카에서 발생한 에볼라 바이러스가 전세계적 재앙으로 떠오르고 있다. 확산을 막으려는 수많은 방역 노력에도 불구하고 바이러스는 전세계로 퍼져나가고 있는 상황이고 45%의 사망률을 보이며 현재까지 5천 명에 가까운 사상자를 냈다. 이에 대해, 박근혜 대통령은 에볼라 바이러스 발병국가에 의료진을 파견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자원자를 중심으로, 의료와 검사가 가능한 소수의 행정요원들을 철저한 교육과 훈련을 거친 후 파견하겠다는 것이다. 정부 측은 보건인력 선발대를 11월 초에 피해가 가장 극심한 서아프리카로 파견하기로 결정했다. 인도주의적 차원에서 질병 유행으로 인한 위험을 스스로 통제하기 힘든 아프리카의 저개발 국가들에게 의료적 지원을 제공하고 동시에 바이러스의 전 세계적 확산을 막자는 것이 그 취지이다.
    하지만 에볼라 바이러스의 위험성과 현실적 문제로 정부의 의료진 파견 결정에 대한 반대의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가장 큰 문제점은 파견 인력이 바이러스에 감염될 가능성이 있다는 점이다. 실제로도 에볼라 바이러스에 의해 전세계 180명 정도의 의료인이 감염되었고 그 중 절반은 사망하였다. 이러한 위험성에도 불구하고 너무 무대책하게 파견이 결정된 것이 아닌가하는 것이다. 11월 초에 선발대를 파견하겠다는 정부의 발표에 따르면, 실질적으로 파견 인력을 훈련시킬 시간은 자원자를 선별하는 기간을 고려하면 길어봐야 1-2 주에 불과하다. 이 기간동안 에볼라 바이러스의 감염 위험에 완벽하게 대처할 수 있을 만큼의 충분한 훈련이 이루어질 수 있을까? 제대로 훈련되지 않은 인력의 파견은 바이러스 확산 방지에 도움이 되지 않을 뿐더러 오히려 확산을 가속화시킬 수 있다. 현재 개발된 백신도 그 효과가 완전하지 않고 재고도 부족하여 충분한 공급이 힘들기 때문에 파견 인력의 안전도 보장할 수 없다. 또한 철벽 같은 방역 체계가 갖추어지지 않는 한 우리나라에도 에볼라 바이러스가 상륙하는 최악의 상황까지 초래할 수 있다. 얼마 전 부산에서 라이베리아인에 대한 추적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빚어졌던 소동을 생각하면 우리나라의 방역 체계가 그리 완전하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자원자를 중심으로 파견 인력을 구성하겠다는 점도, 과연 진정한 의미의 ‘자원자’들이 얼마나 많을지 그리고 자원자들이 현재의 위기상황에 제대로 대처할 수 있을만큼 전문적인 능력을 갖추었을지도 고려해야 할 것이다.
    앞서 말했듯이 에볼라 감염국에 도움의 손길을 내미는 것은 물론 옳은 일이다. 하지만 어떤 상황에서나 그렇듯이, 도우려면 제대로 도와야 한다. 특히, 바이러스 유행이라는 특수한 상황에서 어설픈 도움은 모두에게 독이 될 수 있다. 의료진을 파견하는 것은 좋지만 파견 인력 감염에 대한 확실한 방역과 제대로 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그런 점에서 11월 초부터 의료진을 파견하겠다는 정부의 계획은 약간은 급한 것이 아닌가하는 의견이다. 국제적 분위기에 맞춰 허겁지겁 보건 인력을 파견하는 것은 지양되어야 한다. 에볼라 감염국을 돕고 바이러스의 전세계적인 확산을 막기 위해서는 좀더 충분한 준비와 신중함이 필요하다. 그 어떤 것보다도 완벽을 기해야 하는 상황이다.

저작권자 © 연세춘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