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선]

안중근 순국 100주기를 맞아 우리는 몇 가지 재정리해야 할 문제를 만나게 된다. 그 중에서 급선무가 호칭문제이다. 우리는 지난 100년 동안 안중근 이름 뒤에 '의사'라는 호칭을 붙여 왔다. 그러나 '의사'라는 것은 민족적인 용어이고 내부적인 '우리끼리' 존칭이라고 할 수 있다.

안중근 '장군'이라는 호칭은 국제용어라고 할 수 있다. 안중근 장군은 1909년 10월 26일, 중국 하얼빈 역에서 이등박문을 사살하기 이전부터 무장항일운동에 나선 독립군, 즉 의병장이었다. 김구 선생 보다는 대한민국 임시정부 김구 주석이라고 하는 것과 같다. 안중근 장군은 안중근의 공식직함이라는 것이다. 안중근은 하얼빈 역에서 이등박문만 사살한 것이 아니다. 그 이전에도 생사를 넘나든 조직적인 무장 항일 독립군이었다는 것을 기억해야 한다. 그 부대 이름이 '대한의군'이었다. 그런데 만약 '의사'라는 호칭을 붙이면, 민간인 신분으로 하얼빈 역에서 이등박문을 제거한 것으로 안중근의 활동이 협소해지고 역사적 평가가 빈약해 진다.

'의사'라는 호칭은 종교적 개념에서 순교적인 의미를 담고 있다. 장군이라는 호칭에는 독립전쟁, 독립군, 군인이라는 의미가 적용된다. '의사'라는 것과 '장군'이라는 것에는 엄청난 차이가 있다. 특히 국제법상 안중근의 하얼빈 작전의 해석이 엄청나게 달라진다. 또한 장군이라는 호칭을 사용할 경우 종교적 관점에서 안중근을 이해하는 데 100년의 고민이 소멸된다. 한국 천주교는 지난 100년 동안 천주교인이었던 안중근을 평가하는데 고민해왔다. 장군이란 용어가 국제적이라는 것에는 안중근의 하얼빈 투쟁을 국제적으로 어떻게 평가하느냐 하는 문제와 직결된다. 100년 전 안중근에게 사형을 선고한 안중근 재판 성격을 규정함에 있어서도 '의사'와 '장군'에 따라 그 해석이 크게 달라진다. 안중근에 의해 숨진 이등박문이 일본의 영웅으로 일본 역사가 기록하고 있다. 우리 민족의 영웅과 일본의 영웅이 충돌하고 있다. 그러나 안중근의 호칭이 장군으로 통하는 날 이 모든 것이 한 번에 해결된다.

우리가 안중근 장군 호칭을 외면할 이유가 하나도 없다. 안중근은 일제법정에서 자신의 신분을 군인이라고 강력하게 주장하면서 자신을 독립전쟁 중에 적장을 사살한 포로로 대접하라고 외쳤다. 그러나 일제 법정은 그 같은 주장을 묵살했다. 안중근에 대해 장군이라는 호칭을 사용하자고 하는 것은 100년 전 안중근의 주장을 이제라도 수용하자는 것이다. 안중근 장군이 순국직전에 마지막으로 '국가를 위해 목숨을 바치는 것이 군인의 본분이다'라는 글을 남겼다. 이것은 역사가 자신을 군인으로 기록해주기를 간절하게 바라는 의미가 있다.

안중근의 재발견, 안중근 정신의 계승발전은 호칭부터 바로잡아야 한다. 2010년, 안중근 장군 순국 100주기에 우리가 할 일 중에 하나가 안중근이 그토록 원했던 독립군으로, 군인으로 신분을 복원하는 것이다. '의사'가 '장군' 보다 더 거룩한 호칭이라고 믿는 분들이 있다. 심지어 장군은 1년에 수십명 배출된다고 하는 주장하면서 의사라는 호칭이 장군 보다 훨씬 값진 것으로 믿는 분들도 있다. 순국선열들의 애국충정은 의사든 장군이든 모두 거룩하고 값진 것이다. 호칭으로 애국충정의 혼을 등급화 하는 것은 모독이다. 이순신 장군, 김좌진 장군, 이봉창 의사, 백정기 의사를 장군과 의사 호칭으로 서열화 할 수는 없다. 장군론은 안중근이 스스로 주장했던 것이다. 안중근은 역사가 자신을 독립군으로 기록해 주길 간절히 바랬고 독립전쟁 중에 이등박문을 사살한 것으로 기록되길 원했다. 순국 100년, 최근 국회의원 152명이 '안중근 장군 1계급특진 국회청원 추인서'에 친필서명했다. 비록 법적 효력은 없지만 개인자격이 아닌 대한의군 참모중장 자격으로 이등박문을 사살한 것이라는 100년 전 안중근 주장을 추인한 것이다. 지난 3월 26일 '안중근 장군' 호칭을 사용한 최초의 동상이 순국 100주기에 전남 함평군 소재 '대한민국 임시정부 청사' 앞마당에 제막됐다.

저작권자 © 연세춘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