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도캠이 인천광역시의회(아래 인천시의회)를 포함한 인천지역의 일부 단체들과의 갈등으로 추진과정에서부터 난항을 거듭하고 있다. 현재 인천 지역 사회 일각에서는 인천시가 약속한 지원금으로부터 비롯된 특혜의혹이 줄곧 제기되고 있다. 또한 보건복지부가 인천 지역에 배당한 50명의 약대 정원으로 인한 약대 신설 논쟁이 격화되고 있다.

‘인천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아래 인천경실련)’을 포함한 일부 단체들은 송도캠의 직접이익이 2천800여억원에 달하며 토지 및 유지비 제공 등을 합산하면 그 이상의 금액이 지원된다고 주장하고 있다. ‘평화와 참여로 가는 인천연대(아래 인천연대)’는 지난 8월 발표한 성명서에서 “애초 1조원에 가까운 지원 금액이 6천500억원으로 다소 조정은 됐으나 여전히 특혜시비는 가라앉지 않고 있다”며 “지원 금액이 개발이익금 중 500억원의 환원을 약속받은 인천대에 비해 과다하다”고 주장했다.

우리대학교는 송도캠 토지를 평당 50만원씩 총 930억원을 들여 매입했다. 이에 인천연대는 “인천시는 부지를 송도국제화복합단지개발(주)에 평당 150만원에 매각했다”며 “이 같은 특혜로 인해 연세대는 토지매입비용 930억원만을 지불하고 9천890억원의 송도캠을 소유하게 됐다”고 반박했다. 그러나 인천시는 우리대학교뿐만 아니라 고려대,인천대, 인하대 등 다른 대학에도 같은 조건으로 캠퍼스 설립을 제안 했었다. 그 당시 우리대학교만이 인천시의 제안을 받아들였으므로 다른 대학과 비교하기는 어렵다.

인천대 총동문회 남승균 사무처장은 “인천에서는 연세대가 이전하는 학사단위도 상경대나 공과대 등 큰 단과대가 될 줄 알았다”며 “UIC만 이전결정이 나고 1,2학년이 기숙교육 프로그램(Residential College) 형식으로 송도에 재학하는 정책 등이 백지화 된 것은 인천시민의 예상과 크게 다른 결과”라고 지적했다.

송도캠의 약대 신설 추진에 대해서도 논란이 일고 있다. 인천경실련의 김송원 사무처장은 “2008년 7월에 인천경실련 정책포럼을 열었는데 당시에는 약대 관련 발언이 없었다”며 “인천시민들은 연세대가 약대 신설을 일부러 감췄다는 의혹을 제기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김한중 총장은 “보건복지부로부터 인천에 약대인원이 배정된다는 결정이 나오기 전인 지난 5월, 이미 관훈포럼에서 약대신설의지를 표명했다”고 의혹을 일축했다.

한편 지역대학인 인천대와 인하대 총동문회는 지난 8월 공동성명서를 통해 우리대학교의 약대 신설에 대한 반대 의견을 내비쳤다. 두 대학의 총동문회는 “지역 연고의 뿌리조차 찾을 수 없는 연세대가 지역할당 약학대학 설립 신청에 나섰다는 것은 지역대학의 근본을 말살하는 행위”라고 강도 높은 비판에 나섰다. 또한 “연세대가 약대 설립을 위해 임기응변으로 UIC를 이전한 것으로 보고 있다”는 인천대 총동문회 남 사무처장의 말처럼 여러 문제를 제기하며 반발을 낳고 있다. 남씨는 이어 “생명기술(BT)관련 학과의 신설계획도 약대 때문이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된다”고 현 지역대학의 여론을 전달했다. 또한 “일각에서는 서명운동도 예정돼있다”며 지역대학들이 강경 대응에 나설 것을 예고했다.

인천시의회 역시 우리대학교의 약대 신설에 대해 전면적으로 반대하고 나섰다. 인천시의회는 지난 10일 가결한 ‘지역대학의 약학대학 신설 촉구 결의문’에서 “기존 지역대학이 약학대학으로 선정될 수 있는 충분한 여건과 잠재력을 겸비했다”고 전제한 뒤 “아직 개교도 하지 않은 대학이 약대신설을 논하는 것은 그동안 열악한 여건 속에서 보건의료 발전을 위해 노력해온 지역대학과 시민사회를 무시하는 처사”라며 우리대학교를 겨냥한 발언을 했다.

인천시의회 문교사회위원회의 한 관계자는 “결의문에서 밝힌 것이 시의회의 공식 입장”이라고 밝히고 “교육과학기술부 등 외부에도 이와 같이 알렸다”며 결의문의 내용을 확인했다. 반면 인천시의회 아무개 의원의 비서실장은 “아직은 공식입장을 밝힐 때가 아니다”라며 한 발 물러선 모습을 보였다.

인천시의회와 지역 시민단체들은 송도캠 이전과정과 약대 신설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다. 송도캠이 인천 시민에게 지역대학으로 인식되지 못한다면 소모적 논쟁이 지속될 것이다. 우리대학교가 송도캠에 대한 논란을 딛고 국제화라는 궁극적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여론과 접점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연세춘추」공동취재단 chunchu@yonsei.ac.kr

저작권자 © 연세춘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