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 춘추는 등록금 대책 관련 행사의 보도를 1면에 배치하고, 2면에서는 학내 비정규직의 상황에 대하여 문제를 제기했다. 새내기들에게 다양한 활동을 권장하는 내용의 칼럼도 좋았다. 

 8, 9면의 동아시아 시민사회 기획에서는 동아시아 시민사회 연대의 당위성을 제시하는 것은 물론 대학생들이 직접 참여할 수 있는 통로를 제시하고, 그 필요성까지 역설하여 좋았다.

1면에서 6면으로 이어지는 수강신청 기사는 후반부에 잠깐 언급되는 학습권 문제와 연관시켜 좀 더 분석의 깊이와 내용을 키울 수 있는 소재였지 않나, 싶지만 현실적으로 당장 해야 할 일을 제시하는 것 또한 의미있는 일이다. 대체로 필요한 이야기들로 잘 짜여져 있다는 느낌이다.

그러나 한 가지 아쉬운 점이 있다. 학교가 대대적으로 홍보 중인 ‘연세대 대개혁의 날개를 펴다’ 라는 기사는 교육지도 아니고 시사지도 아닌 경제지에 실렸다. 개혁의 내용 역시 재정개선이다.

허나, 실상을 살펴 본다면 작년 우리대학교는 돈이 없어서가 아니라 편입학 비리, 표절 등의 문제로 더욱 크게 흔들렸다. 사실 진정한 대개혁의 메스는 윤리에 들이대어져야 하는 것이 아닐까. 춘추에서도 다루었듯 마광수 교수의 표절에 대한 징계는 명확한 기준 없이 행해지다가 결국 국문과 내부의 정치적 다툼에 이용되고 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지난 학기 편입학 비리로 총장직을 사임한 정창영 교수는 경제학과에서 미시경제원론을 강의하고 있다. 힘없는 평교수가 편입학 비리에 연루되었어도 이처럼 아무 일도 없었다는 듯 복귀할 수 있었을까. 좀 더 눈을 넓혀 보자. 총리 인사청문회 과정에서 각종 비리 의혹에 시달린 한승수 총리는 연세대 재단 사외이사다. 나는 이 같은 일들에 대한 춘추의 날카로운 비판기사를 보고 싶다.

기자비망록을 통해 한 기자는 ‘사랑하면 안 되나요’ 라며 취재원들의 친절함에 감화되는 자신의 모습을 그려냈다. 미안하지만 사랑하면, 안 된다. 취재원과 기자 간의 오랜 원칙은 ‘불가근 불가원’ 이다. 너무 멀면 정보를 얻을 수 없고, 너무 가까우면 비판이 어려워진다. 기자는 취재현장에 개인적으로 좋은 경험을 얻고자 뛰어드는 것이 아니다. 매체의 독자 모두를 대신해 취재 현장에 서는 것이다.

또, 재단이사회 기사를 쓴 기자에 대한 인사보복에서 비롯된 기자단의 편집권 독립 투쟁을 기억하고 있다. 나는 이를 위로부터의 압력에 굴하지 않겠다는 의지의 표현으로 받아들였다. 기자가 비판을 망설여서는 안 된다. 언론의 비판에 성역이 있어서도 안 된다. 성역 없는 비판 보도를 수행하는 춘추의 모습을 기대한다.  

/최용락(사회·06)

저작권자 © 연세춘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