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야흐로 선거의 계절이다. 한국사회는 한 달도 남지 않은 17대 대통령 선거로 소란스럽다. 삼삼오오 모여 과연 차기 대통령이 누가될지 이야기하는 모습을 보는 것도 흔한 일이다.
그런데 학생회 선거가 일주일도 남지 않은 우리대학교는 ‘조용히’ 소란스럽다. 선거유세에 나선 선본만이 목소리를 높일 뿐 학생들이 삼삼오오 모여 차기 학생회가 누구일지에 대해 이야기하는 모습을 보기는 매우 어렵기 때문이다.
우리대학교의 학생회 선거 투표율은 지난 2년간 50.7퍼센트, 50.16% 등 과반수를 겨우 넘길 정도로 매우 저조한 편이다. 학생들이 선거에 관심이 없는 것에는 다양한 이유가 있겠지만, 그 책임에서 「연세춘추」도 자유롭지 못하다고 생각한다. 선거에 관한 ‘좋은 정보’를 독자들에게 ‘쉽게’ 전하지 못했던 책임이 있기 때문이다.
그런 점에서 이번 「연세춘추」 1577호 역시 ‘좋은 정보’를 ‘쉽게’ 전하지 못한 점에서 아쉬운 부문이 있다.
「연세춘추」가 사설에서 스스로 언급했듯 유권자인 학생들은 각 선본이 얼마나 현실적으로 공약을 실현시킬 수 있는가를 중요하게 생각해야 한다. 그렇다면 지난 1577호는 학생들이 어떤 후보에게 왜 투표해야겠다는 생각이 들 수 있도록 좋은 정보를 제공했어야 한다. 그것이 「연세춘추」가 각 선본의 홍보물과 다른 이유이며, 언론이라고 불리는 이유다.
그러나 1577호를 모두 읽은 후에도 ‘A후보의 공약이 무엇인데 그게 가능한거야?’라는 궁금증이 전혀 해소되지 않았다. 기사들에는 각 후보들의 공약이 무미건조하게 나열돼 있었을 뿐, 깊이 있는 분석은 찾아 볼 수 없었다. 즉, 전체 지면의 절반을 할애한 선거 관련 기사들은 각 후보들의 홍보물이나 유세를 통해 들을 수 있는 내용이 대부분이었다. 홍보물의 내용과 「연세춘추」의 기사에 차이가 없다면 홍보물과 「연세춘추」의 차이는 무엇일까.
또한 중요한 점은 후보들이 주장하는 대다수의 공약들은 학생회가 단독으로 실천할 수 있는 것들이 아니고, 학교나 관련 기관과 협의를 거쳐야 하는 내용들이라는 것이다. 과거 학생회들이 선거 전에 외쳤던 수많은 공약들이 실제로 얼마나 이뤄졌는가를 생각해본다면 후보들의 공약에 대한 검증은 반드시 이뤄져야 하고, 그것은 연세사회의 공기(公器)인 「연세춘추」가 책임져야 하는 부분인 것이다.
그래서 ‘만약 지상유세에 쓰인 6, 7면이 후보들 공약을 검증하는 공간이었다면 어땠을까’라는 생각을 해본다. 예를 들어 연세춘추가 주관하는 정책토론회를 개최해 후보자들에게 공약의 구체적인 실천 계획을 질문하고 이에 대한 답을 듣고, 과거 사례나 관계기관의 취재를 통해 그 답이 과연 가능한 것인지를 알아보는 내용이었다면 ‘좋은 정보’를 독자들에게 전할 수 있었을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지난 1576호에 이어 이번 1577호에도 이어진 현 학생회의 공약 이행 상황 점검은 「연세춘추」의 책임을 다하는 모습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과거에 대한 평가만큼 중요한 것이 미래에 대한 철저한 준비다. 앞으로 이뤄질 선거에서는 독자들이 옳은 선택을 내릴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연세춘추」의 모습을 기대한다.

/신익주(화학공학·02)씨

저작권자 © 연세춘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