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2대 총학생회(아래 총학)의 활동이 막바지에 이르렀다. 지난 총학의 행보를 돌아보면 그 초점은 ‘탈정치였다고 요약할 수 있다. 실제로 총학은 탈정치를 지키기 위해 정치적 이슈가 될 만한 학내외 사안에 대해서는 참여 자체를 거부하는 활동을 벌였다.
 
총학은 중앙도서관 앞 행사를 전면 철폐하였고, 백양로에 설치된 노수석 열사 추모 현수막을 철거하였다. 지난 8월 14일에는 우리대학교에서 시민단체 등이 8·15 민족대축전 행사를 열겠다고 하자 학교 본부와 함께 장소 제공을 거부해서 화제가 되기도 했다.
 
일부에서는 이러한 현상을 두고 ‘대학 사회의 보수화 바람’이라고 평한다. 종종 일간신문의 기자를 만났을 때 ‘연세대학교의 보수화 바람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질문을 듣는다. 그럴 때마다 나는 ‘그 질문이 가지는 전제에 동의하지 않는다’고 답한다.
 
내 생각에 학생들은 남북관계, 대미관계 등 국가의 명운이 좌우되는 사안에 대해서 보수화 되었다거나 관심이 멀어진 것은 아니다. 다만 그런 사안은 학생들이 무엇을 어찌 하기에는 이미 강대국들이 끼어든 거대담론이 되어버린 데다가, 국민의 정부에서 참여정부까지 그래도 상대적으로 진보적인 정파가 집권하고 있기 때문에 일종의 관망 상태가 유지되는 중이라고 본다.

그런 현상을 부추기고 있는 가장 큰 원인은 무엇보다도 요즘 학생들의 성향 변화에 있을 것이다. 누구나 동의하겠지만 요즘 대다수 학생들은 봉급 많이 주고 안정된 직장을 잡기 위해서 좋은 학점을 받거나 혹은 국가 자격고시에 합격하는 것을 무엇보다도 중시한다. 따라서 총학의 탈정치는 학생들의 현 모습을 일정부분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
 
당연한 얘기지만 총학의 ‘탈정치가 아무리 다수 학생들의 열망을 반영한다고 하더라도 그 이유만으로 정당성을 인정받을 수는 없다. 그리고 우리대학교가 사회로부터 높은 기대를 받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나치게 ‘탈정치의 틀에 매여 있게 되면 학벌의 특권만 추구하는 이기주의 집단으로 간주될 수 있다는 부작용도 염려하지 않을 수 없다.
 
또한 ‘탈정치는 우리대학교 내부의 학생 사회에도 모순적인 상황을 연출할 수 있다는 점에서 문제의 심각성이 크다. ‘탈정치를 주창한 42대 총학이 이제는 중앙선거관리위원회(아래 중선관위)로서 투표라는 정치 행위를 독려하는 입장이 되었다. 하지만 42대 총학에 의해 ‘탈정치화된 일부 학생들은 수업 전 선거 유세 등 투표 독려 행위에 대해서 수업권 침해를 주장하고 있다. 그리고 총학 선거가 학생 사회의 가장 중요한 정치 행사임에도 그런 인식이 별로 없는 형편이다. 실제로 이번 43대 총학 선거는 예정보다 하루 연장된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투표율 50%를 채우지 못해 오늘 다시 연장투표가 실시된다.
 
결국 총학 선거에서의 높은 투표율과 탈정치 노선의 양립 근거는 우리대학교와 사회를 엄격히 구분하고, 학내의 문제만 중요하게 생각한다는 전제로부터 시작된다. 그리고 이는 43대 총학의 선거라는 정치 행위를 어렵게 만드는 자충수로 작용하는 것 같아 안타까운 마음이다. 어떻게든 43대 총학은 새로 출범하겠지만, 새 총학은 대학 사회의 탈정치에 대한 진지한 고민과 사회 문제 참여의 중요성을 되새기길 바란다.

저작권자 © 연세춘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