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거북이도 난다'

바흐만 고바디 감독의 영화의 중심에는 항상 쿠르드족이 서있다. 터키, 이라크, 이란 지역을 돌아다니며 정착하기 위해 끊임없이 투쟁하는 이 소수 민족을 다루는 영화감독 바흐만 고바디. 그가 쿠르드족 출신 최초의 영화감독이라는 점을 알게 되면 왜 바흐만 고바디가 그토록 쿠르드족의 문제에 집착하는지 짐작할 수 있다. 그의 세 번째 장편영화 '거북이도 난다'는 미국의 이라크 침공 속에 무기력하기만 한 쿠르드족의 현주소를 보여준다.

이라크와 터키의 국경지역인 쿠르디스탄. 그 곳 사람들은 전쟁 소식을 듣기 위해 안테나를 여기저기 설치해 보지만 그들이 가진 고물 안테나가 방송 전파를 잡기에는 역부족이다. 결국 마을 사람들은 위성 안테나를 잘 다뤄서 ‘위성’이란 별명으로 불리는 한 소년에 의지하게 된다. 위성은 동네 아이들을 이끌고 다니면서 마을 곳곳에 숨겨져 있는 지뢰와 탄피를 찾아내 그것을 돈으로 바꾸며 살아간다. 전쟁의 광풍 속에서의 비참한 생활을 이겨내려는 위성과 아이들의 모습은 최근 조용한 흥행몰이를 하고 있는 영화 '아무도 모른다'의 아이들을 떠올리게 한다. 두 영화 속 아이들은 어른들의 외면 속에서도 삶에의 의지를 꺾지 않고 연약한 모습을 보이지 않는다는 점에서 쏙 빼닮은 모습이다.

'거북이도 난다'는 전쟁의 참혹함 속에서 희망을 엿볼 수 있는 영화지만 철저히 비극적이다. 영화 속 아이들과 아무런 상관이 없는 어른들의 욕심 때문에 일어난 전쟁이 아이들을 불행 속으로 밀어 넣고 있기 때문이다. 아이들이 지뢰밭에 가서 지뢰를 파내는 장면이나 탄피가 가득 실린 트럭이 아이들이 모여 있을 때 폭발하는 장면은 위험천만하기만 하다. 하지만 아이들이 살기 위해서는 어쩔 수 없이 이런 일들을 해야 한다는 사실이 슬픔을 증폭시킨다. 영화를 보고 있는 동안 머릿속에 영화 속 TV 뉴스를 통해 잠시 등장하는 부시와 후세인의 얼굴이 맴도는 건 어쩔 수 없는 일이다. 이 아이들은 자신들의 의지와는 무관하게 ‘나쁜 어른’들로 인해 고통을 받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비극은 미군들에 의해 부모님을 잃고 성폭행을 당해 15살도 안된 어린 나이에 이름 모를 미군의 아이를 낳은 소녀, 아그린에 이르면 절정으로 치닫게 된다. 지뢰를 밟아 두 팔을 잃어버린 아그린의 오빠 헹고나 아그린의 아들 리가 역시 슬픈 동화 속 인물들이다. 자신의 부모를 죽인 사람과의 관계에서 낳은 자식을 받아들이지 않는 아그린은 결국 자신과 자식을 죽이고 싶은 충동에 시달리며 힘겨운 삶을 이어나간다. 위성의 오랜 구애에도 전혀 미동하지 않는 아그린의 모습은 이미 삶으로부터 배반당한 영혼의 자화상이다.

 '거북이도 난다'에서 가장 중요한 소재는 지뢰다. 지뢰는 마을 아이들의 팔, 다리를 빼앗는 전쟁의 원흉이자 그들을 지탱해주는 생계수단이기도 하다. 지뢰가 지니는 이중성은 '거북이도 난다'가 여러모로 해석될 수 있는 여지가 있는 영화라는 점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예이다. ‘지뢰’와 같이 다양한 해석을 낳을 수 있는 영화 속 상징물들은 '거북이도 난다'가 피로 얼룩진 잔인한 전쟁 영화와 아이들을 내세워 동정심을 불러 일으키는 신파극을 비켜나갈 수 있었던 근거가 된다.

미군의 공격에 대비해 총 두자루를 준비하는 위성과 알아들을 수 없는 영어 뉴스보다 더 정확한 헹고의 예언 능력은 우리에게 억지 눈물을 호소하지 않는다. 이처럼 좬거북이도 난다좭는 전쟁이 얼마나 잔혹한가를 그대로 보여주는 동시에 폐허에서 돋아나는 새싹을 함께 제시하는 영화다. 절망과 희망이 동시에 겹쳐지기 때문에 바흐만 고바디의 영화는 관객의 머릿속에서 망각하기 어려운 경험으로 다시 피어난다.

저작권자 © 연세춘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