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류 학생 위한 개선 필요성 대두돼

소속 대학이 아닌 타 대학에서 수업을 수강할 수 있는 학점교류제도는 ‘또 다른 교환학생 제도’로도 불린다. 상당수 대학이 해당 제도에 대해 높은 관심을 보인다. 지난 2017년, 서울 32개 대학 총장 모임 ‘서울 총장 포럼’이 발표한 ‘공유대학 제도* 도입’이 대표적이다. 하지만 정작 학생들의 관심은 이를 따라가지 못한다. 이용률과 인지도 모두 현저히 낮은 실정이다.

 

홍보 부족·현실적 제약 탓
학생 이용률 낮아

학점교류제도란 대학 간 협정을 통해 타 대학에서 수강한 수업과 학점을 소속 대학이 인정하는 제도다. 대학 내 교육·연구 및 학생 교류 활성화를 위해 도입됐다. 현재 우리대학교는 고려대서강대계명대 등 16개 대학과 학점교류제도를 시행 중이다.

그러나 이용 학생 수는 많지 않다. 지난 1학기에는 우리대학교 학생 중 불과 44명만이 타 대학으로 학점교류를 신청했다. 이처럼 학점교류제도의 참여율이 저조한 이유로는 ▲홍보 부족 ▲현실적인 제약 등이 거론된다.

학점교류제도 희망 학생은 ‘수학신청’과 ‘수강신청’을 거친 뒤 ‘학점인정’을 받아야 하지만 수학신청부터 쉽지 않다. 학점교류 과목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대학 학사제도 개선 및 학점교류 활성화 방안 연구」에 따르면 학점교류제도 이용 시 장애 요인으로 홍보와 타 대학 개설과목 정보 부족을 꼽은 비율이 29.7%로 가장 높았다. 우리대학교로 교류를 왔던 고려대 이겨레(건축사회13)씨는 “학점교류에 대한 홍보가 부족해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얻기 힘들다”며 “학교별로 학점교류 신청기간부터 모두 다른데, 프로그램을 사전에 알고 있지 않은 한 신청하기 어렵다”고 전했다.

현실적인 제약 또한 학생들의 제도 이용률을 낮추는 요소다. 교류 학생의 학내 시설 이용 제한이 대표적이다. 현재 적잖은 수도권 대학들은 기숙사 수용률을 근거로 교류 학생의 주거 문제를 외면하고 있다. 실제로 우리대학교는 한남대영남대전주대 등 비수도권 대학과 학점교류제도를 체결했지만 학생의 기숙사 거주를 제한하고 있다. 이는 고려대 등 타 대학에서도 나타나는 현상이다. 교류 대학 근방에 거주하지 않는 학생 입장에선 당장 살 곳이 막막하다. 고려대 교육지원팀 관계자 B씨는 “정규학기 땐 재학생만을 수용하는 것도 버겁다”며 “계절학기는 기숙사 청소 기간과 겹치기 때문에 타대생 수용이 어렵다”고 설명했다.

 

학생 없는 학점교류제도,
제도 확대만이 능사는 아니다

 

이에 단순히 교류 대학 수를 늘리는 게 아닌, 제도의 내실화에 신경을 써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대표적인 것이 ▲대학 내 학습 환경 보장 ▲통합 시스템 구축 요구다.

우선 교류 학생의 실질적인 학습 환경이 보장돼야 한다. 그중에서도 주거는 핵심적인 문제다. 대학교육연구소 임희성 연구원은 “외국 대학들의 학점교류제도는 기숙사 제공을 기반으로 이뤄진다”며 “국내 대학도 교류 학생을 위한 방안을 내놓아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학점교류제도 관련 통합시스템 구축도 주요 요구사항 중 하나다. 학생참여율이 저조한 이유로 ‘낮은 정보 접근성’ 등이 꼽히는 만큼, 일원화된 시스템을 구축해 해결하자는 것이다. 서강대 교육문화학과 김재웅 교수는 “각 대학마다 수강신청 기간과 형식이 제각각인 것은 교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며 “인터넷 기반으로 학점교류 대학 간 컨소시엄을 구성해 통합시스템을 개설한다면 학생들에게 도움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실제로 서울 총장 포럼은 오는 2학기에 공유대학 인터넷 기반 통합 플랫폼을 개설할 예정이다. 서울 총장포럼 사무국 김보미씨는 “플랫폼이 정착되면 중장기적으로 참여 대학의 수를 늘리고자 한다”며 “궁극적으로는 교육부 공식 제도로 자리 잡는 게 목표”라고 전했다.

 

*공유대학 제도 : 학점교류, 연합대학 프로그램, 온라인 강좌(Massive Open Online Course, MOOC) 개방 그리고 국민을 위한 강좌 개설 등을 포함한 제도

 

글 손지향 기자 
chun_hyang@yonsei.ac.kr

그림 민예원 

저작권자 © 연세춘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