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공계 위주인 프라임사업, 의견 분분해

지난 10월 21일 교육부는 ‘사회수요 맞춤형 인재양성 사업’을 공개했다. 해당 사업은 박근혜 정부의 교육개혁 과제 가운데 고등교육 부문 핵심 과제인 ‘사회수요 맞춤형 인력양성’의 일환으로 추진된다. 구체적으로 ‘사회수요 맞춤형 인재양성 사업’은 ▲산업연계 교육활성화 선도대학 사업(아래 프라임 사업)을 비롯해 ▲대학 인문역량 강화 사업과 ▲평생교육 단과대학 육성 사업으로 구성됐다.

이 가운데 대학가의 주요 관심사는 프라임사업이다. 프라임사업의 목적은 대학의 체질을 사회 변화와 산업 수요에 맞도록 개선함으로써 졸업 인력과 사회에서 요구하는 인력 간의 부조화를 해소하는 것이다. 교육부는 ‘사회수요 선도대학(대형)’ 9개교와 ‘창조기반 선도대학(소형)’ 10개교를 프라임사업 대상 대학으로 선정해 오는 2016년부터 2018년까지 정부 예산안 기준으로 3년간 2천362억 원을 지원할 방침이다. 

이에 따라 우리대학교 또한 프라임사업을 수주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 중이다. 기획처장 황재훈 교수(정경대‧ERP시스템)는 “프라임사업은 정부에서 주도하는 대학 지원 사업 중 최고 규모”라며 “우리대학교 또한 사업을 수주할 기회를 놓치지 않을 것”이라 밝혔다. 또한 황 교수는 “교육부의 유망 산업군 발표에 맞춰 해당 산업에 필요한 인력을 양성하는 것에 집중하는 방향으로 이뤄질 것”이라 전했다.

그러나 프라임사업이 사실상 취업에 유리한 이공계 중심의 구조조정을 의미하는 만큼, 우리대학교 내에서 소외당하는 과가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이에 대해 모 교수는 “대학의 학문이 사회적 수요에 끌려가면 안 된다”며 “인문학과 순수과학 같은 기초학문이 기반이 돼야 실용 기술도 발전할 수 있는 것”이라 말했다. 이어 모 교수는 “실용적 가치를 중심으로 학문을 재단하는 것은 근시안적인 처방”이라며 우려를 전했다. 이에 대해 황 교수는 “구조조정으로 이어질 수 있는 학과 특성화는 당연히 학교 내 모든 교수들과의 협의 속에 이뤄져야 할 것”이라 밝혔다.

프라임사업은 대학 지원 사업 중 최고 액수를 지원하는 큰 규모의 사업이다. 사업의 유치도 중요하지만, 사업 유치 과정에서 관심 밖으로 멀어지는 학과가 발생해서는 안 될 것이다.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는 학교 측의 현명한 판단이 필요한 시점이다.

 

김광영 기자
insungbodo@yonsei.ac.kr

저작권자 © 연세춘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