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14년 4월, ‘4.2 공동행동(아래 공동행동)’을 통해 51대 총학생회(아래 총학) <Solution>과 중앙운영위원들은 학교 본부와 학사제도·교육환경 개선에 대해 논의했다. 논의했던 내용은 ▲절대평가 확대 ▲영어강의 내실화 ▲교원 확충 등이었고, 대부분 큰 틀에서 원만하게 합의를 이뤘다. 하지만 합의 후에도 기존의 학사제도의 변화는 다소 느리게 진행됨에 따라 위 3가지 사안에 대한 학생들과 학교 간 입장 차가 존재하고 있다.

절대평가,
학점 인플레? 기본적 교육권?

현재 우리대학교는 기본적으로 모든 강의에 상대평가를 적용하고 있으며 ▲영어·원어로 진행하는 강의 ▲글쓰기(심화), 40명 이내의 학생들이 듣는 ▲심화전공강의 ▲교직이수 ▲평생교육사 과정 ▲군사학 등에 한해 예외적으로 절대평가 기준을 적용하고 있다. 이에 대해 지난 2014년, <Solution>은 학사제도 개선 요구안 중 ‘절대평가의 시범적 확대’를 주장했다. 51대 총학생회장 이한솔(문화인류/신학·10)씨는 “‘Great Books and Debate’나 ‘Global Leadership’ 강의와 같이 굳이 경쟁하지 않아도 되는 수업을 절대평가 방식으로 바꾸자는 의미였다”며 요구안의 취지를 전했다. 학생들 역시 필요한 강의에 한해서는 상대평가보다 절대평가를 적용하는 것이 더 낫다는 의견이다. 이연우(사복·14)씨는 “1학년 때 글쓰기 수업을 들었는데, 강의 특성상 성적 평가의 기준이 모호하다고 느꼈다”며 “이를 평가하고 엄격하게 성적을 나누는 것이 옳은지 의문이 들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학교 측은 ▲절대평가로 인해 성적평가가 엄정하게 이뤄지지 못할 수 있다는 점 ▲상대평가가 부적합하다고 여겨지는 강의에는 이미 절대평가를 적용하고 있는 점을 들며 절대평가 강의 수를 늘리지 않고 기존 상황을 유지하고 있다. 교무처 측은 “우리대학교의 A와 B 성적 부여의 비율은 다른 대학교에 비해 상당히 높은 수준”이라며 “학점 인플레이션 문제 개선과 대학학사관리의 신뢰성 확보가 필요하다”고 전했다. 학사지원팀 박병록 팀장은 “이런 문제로 인해 상대평가 방식을 강화하고, 성적을 엄정하게 평가하는 상황이라 절대평가를 확대하기는 어렵다”고 덧붙였다.
총학생회장 송준석(정외·12)씨는 “절대평가 확대 등 근본적인 교육환경 개선에 대한 논의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한편, 고려대는 창의적 인재 양성을 목적으로 2015학년도 2학기부터 ‘3무(無) 정책(시험감독·출석체크·상대평가 폐지)’을 시행하게 된다. 절대평가의 확대 측면에서는 우리대학교와 상반된 행보를 보이는 것이다.

영어강의 내실화, 여전한 문제점

다음으로 <Solution>은 학사제도 개선 요구안에서 강의 질 향상 및 강의 개설 자율화를 주요 내용으로 하는 영어강의 내실화를 촉구했다. 그러나 영어강의 내실화는 여전히 ▲교수의 영어강의 개설 자율성 ▲영어강의 전임교원 확충 등의 장애물에 봉착해 있다.
학교 측과 <Solution>은 공동행동 이후, 담당교수가 자율적으로 영어강의를 개설할 수 있도록 하는 범위 내에서 영어강의를 시행하기로 합의했다. 하지만 「교원업적평가 시행세칙」 제14조(재임용 심사)에 따르면 ‘현재 우리대학교의 신임교수는 임용된 후에도 최초 재임용 심사를 받기 전까지 6강좌의 영어강의를 수행해야 한다’는 제도가 남아있어 자율성을 지키기 어려운 실정이다. <관련기사 1740호 5면 ‘‘국제화’지수를 높인 8할은 영어강의?’> 위 교원 규정은 모든 신임교원에게 일률적으로 적용되기 때문에 문제가 되고 있다. 이모(아동가족·14)씨는 “교수님의 영어 구사 능력이 능숙하지 않아 수업내용 연결이 잘 안 됐다”며 “전달력이 떨어져 전체적으로 수업이 지루했다”고 말했다. 이 문제는 UIC의 영어강의에서도 드러난다. UIC 소속학과인 Econ의 학생회 측은 “Econ이 국제대 5개의 학과에 비해 상대적으로 만족도가 떨어지는 편”이라며 ”영어강의에 익숙지 않은 교수님들이 많은 것 같다”고 답했다.

UIC 내 일부 전공에서는 전공과목을 담당하는 영어강의 전임교원이 부족한 편이다. 현재 Econ에서 개설되는 영어강의의 경우 이를 전적으로 담당하는 교원이 없고, 대부분 상경대와 UIC 수업을 병행하고 있다. 송씨는 “영어강의는 늘어나고 있지만, 학교 측은 그 자리를 기존의 교수들로 채우는 경향을 보인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UIC 교무담당자는 “학교 측은 질적으로 우수한 영어강의 전임교원을 유치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ISED의 경우 이번 학기에 3명의 전임교원을 확충하기도 했다”고 설명했다.

교원 확충. 어느 정도 채워졌나

공동행동 당시 <Solution>은 교원확충에 대한 요구안을 전달했으며, 학교 측은 총학 측이 요구한 교원확충기금의 마련에 대해 긍정적으로 검토하겠다는 답변을 전했다.

그렇다면 현재 상황은 어떨까. 신촌‧국제캠은 2015학년도 1‧2학기를 포함해 44명의 전임교원을 확충해, 9월 1일을 기준으로 998명의 전임교원이 소속돼 있다. 대학알리미에 따르면 지난 2014년 신촌‧국제캠 전임교원 1인당 학생 수는 재학생 기준으로 22.65명이었으며, 2015년에는 22.4명으로 지난해보다 0.25명 정도 줄었다. 이는 ▲국내대학 평균 26.47명 ▲수도권 대학 평균 26.94명보다 약 4명 적은 수치다.

하지만 학생들은 여전히 교원이 부족하고, 이로 인해 강의의 질이 떨어질 수 있다는 우려를 표하고 있다. 권순현(경제‧14)씨는 “교원의 수가 적어서인지 대형강의*가 많은 것 같다”며 “대형강의에서는 강의 전달의 효율성이 떨어지고, 상대적으로 수업에 집중하지 않는 학생들이 많아 수업 분위기도 흐려진다”고 언급했다. 실제로 2013학년도 신촌‧국제캠의 경우 ▲대형강의 246개 ▲초대형강의** 54개로 고려대, 이화여대 등 서울 주요대학과 비교했을 때 가장 많았다. 송씨는 “대형강의 수가 많아지는 것은 교육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교원확충을 위한 예산을 더 확보해야 한다”는 의견을 전했다.

이에 대해 박 팀장은 “대형강의가 많은 것이 교원 수 부족의 문제만은 아니다”며 “강의의 내용이나 성격 등 대형강의가 적합한 경우도 있다”고 말했다. 박 팀장은 “때로는 여러 강의가 열려도 인기 교수님의 강의에만 몰리는 경우도 있기에 단순히 교원 수를 늘리기보다는 우수한 교수를 채용하는 것이 현재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이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교무팀 안동욱 과장 또한 교원확충에 있어 질적인 확충을 강조했다. 안 과장은 “학생들에게 질 높은 강의를 제공하기 위해 연구력이 뛰어난 교수들을 채용하고 있다”며 “강의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 기준과 강의별 성격이 달라 모두를 완벽하게 만족하게 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향후 구체적인 교원확충 계획에 대해 안 과장은 “채용은 1년 단위로 진행되며, 오는 2016학년도에는 일반채용을 통해 30명, 특별채용을 통해 10명 정도의 교원이 확충될 예정”이라고 전했다.

공동행동으로 학교와 학생 사회는 변화의 도화선에 불을 붙였지만, 여전히 해결되지 않은 교육권에 대한 문제가 존재한다. 이씨는 “공동행동 한 번으로 끝나는 게 아니라 계속해서 교육권에 대한 의제를 지속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전했다. 공동행동이 일회성으로 그치지 않고, 절대평가·영어강의·교원확충 등의 학사제도 개선을 위해 학교와 지속적인 소통의 장이 마련될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대형강의 : 수강생이 100명 이상인 강의
**초대형강의 : 수강생이 200명 이상인 강의
 

이유림 기자
yurrr1104@yonsei.ac.kr
심규현 기자
kyuhyun1223@yonsei.ac.kr
한선회 기자
thisun019@yonsei.ac.kr

저작권자 © 연세춘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