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섹션 기고글

“대학생은 모두 싱글족이다.” 이렇게 일반화해서 말할 수는 없겠지만, 대학가 문화의 특징 가운데 하나는 바로 ‘싱글족 문화’다. 사실상 한국사회의 싱글 문화들은 대학가에서 기원했다고 해도 지나친 말이 아니다. 즉 적어도 한국에서 ‘싱글족(族)’이라는 문화종족은 바로 대학가에서 탄생했다. 물론 일반적으로 싱글족이란 단순히 혼자 사는 미혼자들을 가리키는 것만이 아니다. 또한 여기에서 다루는 싱글족 문화는 독거노인이나 기러기 아빠와는 거리가 있다. 일단 독립적 개체성을 유지하는 1인 가족의 형태를 말한다.

한국에서 젊은 세대의 대학 입학은 수많은 1인 가족의 새로운 탄생을 의미했다. 대학에서 탄생한 1인 가족은 사회진출 시에도 싱글족에 관한 문화적 사회적 용인을 가능하게 했다. 대학가의 싱글족 문화는 공간의 문화가 대변한다. 우리가 동물의 흔적을 문화라고 하지는 않는다. 문화는 인간다운 삶의 흔적에서 비롯한다. 삶의 흔적은 공간 인간이 머무는 공간에서 기원한다. 싱글종족이 공간화 하는 곳에 싱글문화가 생겨난다. 대학가의 싱글문화의 아이콘은 방 문화다. 자취방, 고시원, 원룸 등은 대학가 싱글문화를 매개하고 있다.

하지만 싱글 문화를 단순히 이러한 공간의 문화에 한정해 말할 수만은 없겠다. 대학가에서 싱글족의 종족적 번성은 현대성의 심리와 물질적 토대의 뒷받침에서 비롯할 수 있다. 현대성의 특징은 자아의 성장과 존재의 정체성의 폭발적인 분출이다. 싱글족의 본격적인 확장은 바로 인간의 근원적인 자유욕구에서 비롯한다. 또한 자본주의 상품구조와 경제적 물질 토대의 축적은 이를 가능하게 했다. 자아와의 성장과 정체성의 확립은 개체성의 삶과 기호들을 더 우선시 하게 되면서 집단성과 공동체성을 우선하는 기존의 사회구조나 문화적 프레임과 거리를 두게 된다. 집단성과 공동체성은 결국 개체의 생존을 위해서 필요했다. 자본주의 상품구조가 생존에 필요한 물질적 토대를 대체하기에 가능해졌다.

하지만 대학가의 싱글족 문화와 일반 사회의 싱글족 문화는 이 지점에서 확연하게 구분될 수 있다. 일반사회에서 싱글족으로서 자격과 품위를 유지하려면 그에 상응하는 물질적 토대가 필요하겠다. 일정한 연봉과 사회적 지위가 필요한지 모른다. 무엇보다 일반적인 싱글족들은 개인 파편화되는 경우가 많고, 싱글족들을 겨냥한 소비상품에 종속되는 경향이 대학가의 싱글족보다 크다.

하지만 대학가의 싱글족들은 겉으로는 각자 자신의 공간학적 지형도를 각자 유지하면서도 완전히 상품 구조에 종속되었다고 보기 힘들다. 각 싱글족들이 때로는 협력하고 상호 협조하면서 자신의 삶과 문화를 유지하거나 업그레이드 시켜나간다. 그 과정에 비즈니스의 거래 개념이 적게 개입되거나 상품의 논리가 덜한 것이 장점이 된다.

그것은 단순히 물질적인 관점만이 아니라 정신적 측면에서 중요한 함의점을 준다. 대학가의 싱글족들은 각자 자신의 정체성과 자아를 유지하면서도 적절한 유대와 협력의 관계를 보여준다. 그렇기 때문에 대학가의 싱글족은 상품화의 타켓에서 비켜 나가게 된다.

요컨대, 대학가 싱글족의 장점은 한국사회의 싱글문화의 시원이면서 새로운 대안이 된다. 싱글족의 확장에는 상품과 비즈니스의 논리가 작용하고 있는 측면이 있고, 그러한 논리의 부응에는 비정규직 세대에게는 버거운 사회경제적인 조건이 존재한다. 이 때문에 무분별하게 싱글족 문화를 장밋빛으로 포장하는 행태는 싱글족이 가지고 있는 그 잠재성과 가능성을 오히려 훼손하게 된다.

싱글족의 의미와 가치는 개인-싱글을 억압했던 사회제도적 프레임 때문에 드러난다. 자유를 박탈당해 본 이들일수록 자유의 소중함을 안다. 한국사회에서 싱글문화가 그 가치부여를 받는 이유는 전통적인 집단적 가부장적 문화 속에서 개인의 삶과 권리가 억압당하거나 때로는 박탈당했기 때문이다. 싱글문화의 가치를 확인시키는 기제가 상시적으로 존재하는 것, 느슨한 집단성이 싱글족을 의미 있게 한다.

단순히 개체성의 심화가 싱글문화의 핵심은 아니다. 아예 집단성을 떠난 싱글족은 그 의미와 가치의 소중함은 물론 탄생과 유지의 맥락을 잃어버린다. 이러한 면에서 상품과 비즈니스의 논리에서 일정한 거리를 둔 대학가의 느슨한 연대와 협력의 집단성에 근거한 싱글족 문화를 한국사회 일반으로 확장되어갈 대안이 된다.

 

저작권자 © 연세춘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