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금 책정·학사제도 개편 등 학내 주요 결정 과정에서 배제돼…

지난 3월 6일 원주캠퍼스(아래 원주캠) 커뮤니티 ‘연필넷’ 익명게시판에 ‘기분이 좀 상한다’라는 제목의 글이 게시됐다. 이 글의 작성자는 “우리대학교 홈페이지 캠퍼스란이 기존에 신촌/원주로 돼있었으나 신촌/국제/원주로 됐다”며 “원주캠의 30여년 전통성이 아직 정식 개교도 하지 않은 국제캠퍼스(아래 국제캠)보다 부족한건가”라는 의문을 제기했다. 이어 작성자는 “이런 사소한 점 하나가 자존심을 상하게 한다”고 밝혔다.

현재 원주캠은 캠퍼스간 △복수전공 △소속변경 등으로 하나의 연세대학교로서 교육기회가 열려있다. 그러나 위의 사례처럼 ‘분교’의 이유로 우선순위에서 밀려나는 원주캠은 △등록금 책정 △학사제도 개편 △국제캠 개교 △교수평의회 등에서도 소외되고 있다.

독립채산제, 그러나 등록금 책정은 종속채산제

지난 1월 27일 총학생회와 학교 측은 우리대학교의 등록금을 2.5% 인상하겠다고 발표했다. 발표자 2인은 신촌캠퍼스(아래 신촌캠) 총학생회장 정다혜(사학·06)씨와 당시 신촌캠 기획실장 이태영 교수(이과대·중규모기상학)였다. 원주캠 총학생회장 임남규(정경법학·04)씨는 옆에서 발표현장을 지켜볼 뿐이었다. 원주캠 배제는 이 뿐만 아니라 등록금 책정시 책정과정, 대표자 참석 비율에서도 나타난다.

 

2010년 등록금이 2.5% 인상됐다는 발표를 하고 있는 당시 기획실장 이태영 교수(오른쪽)와 신촌캠 학생회장 정다혜(왼쪽)씨. 발표현장 뿐 아니라 책정과정에서도 원주캠퍼스는 배제돼 있다.

우리대학교 등록금 책정은 신촌캠의 가예산만을 기준으로 한다. 재정적인 어려움으로 인한 신촌캠의 등록금 인상이 독립채산제로 상황이 다른 원주캠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원주캠 총학생회장 임씨는 “등록금책정협의위원회(아래 등책위)에서 가예산을 토대로 등록금에 대한 협의를 할 때 원주캠 가예산은 기준으로 삼지 않았다”고 말했다.

이렇듯 등록금 책정 과정에서의 등록금 인상은 원주캠의 재정상태에 따라 조정되지 않아 문제다. “원주캠은 재정자립도가 높다”는 원주총무처장 이종우 교수(과기대·기하학)의 말처럼 재정이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원주캠은 재정상태가 비교적 안정적인데도 신촌캠과 더불어 등록금이 인상되고 있다. 2010학년도 역시 신촌캠의 등록금 인상으로 인해 원주캠은 강원도에서 가장 높은 등록금 액수를 기록했다.

원주캠이 신촌캠과 교육환경이 동일하지 않으나 같은 액수의 등록금을 내고 있다. 왜 원주캠이 신촌캠과 등록금 책정을 같이 하는 것일까. 이에 원주캠 기획처 관계자는 “제2캠퍼스인 원주캠을 신촌캠과 같은 ‘연세대’로 보지 않는 인식이 있다”며 “등록금이 같아야 대외적으로 두 캠퍼스가 하나의 연세로 보일 수 있을 것”이라는 반응을 보였다.

등책위에 참석하는 학생 대표 인원마저도 원주캠은 제한받는 상황이다. 신촌캠의 경우 △총학생회장 △부총학생회장 △단과대 회장 1명으로 총3명이 등책위에 참석한다. 그러나 원주캠의 재학생이 우리대학교 전체 학생비율 중 약 30%를 차지함에도, 원주캠 총학생회장 1명만이 등록금 책정과정에 참석한다. 이에 원주캠 총학생회 집행국장 양선제(정경법학·05)씨는 “앞으로는 최소한 원주캠에서 부총학생회장까지 참석할 수 있게 요구할 예정이다”고 말했다.

학사제도 개편마저도 배제돼

지난 2008년 원주캠 총학생회에서 ‘학사제도개선 프로젝트’를 원주 교무처 측에 건의했을 때, 원주 교무처는 “학사제도가 신촌캠과 통합돼있어 원주캠에서 섣불리 결정할 수 없다”는 입장을 보였던 바 있다.

그렇다면 신촌캠과 원주캠의 학사제도 통합은 제대로 이뤄지고 있을까. 최근의 사례를 보면 신촌캠의 학사제도 변경은 원주캠이 배제된 채 논의없이 일방적으로 이뤄졌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010년 신촌캠은 교육제도의 개편이 이뤄졌으나 원주캠은 재수강제도 변경만 시행했을 뿐 △4천단위 절대평가 폐지 △교과과정 개편은 적용하지 못했다. 이 중 절대평가 폐지의 경우 원주캠도 함께 적용될 수 있는 부분이었으나 학사제도 개편에서 캠퍼스간 논의는 부족했다. 한편, 신촌캠은 총학생회의 건의로 현재 절대평가 폐지를 보류한 상태다.

이에 2010학년도 1학기 개강을 앞두고 원주교무처장 윤방섭 교수(정경대·조직행동론)는 “신촌캠과 더불어 교육제도 개편이 일어나기도 하지만, 그렇지 않는 것도 있다”며 “또한 성적평가 원칙의 경우 신촌캠으로부터 늦게 공문을 받았고 학생들에게 사전공지되지 않아 논의가 필요한 문제”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신동훈(정경경영·07)씨는 “학사제도를 하나로 운영하면서 원주측의 의견수렴 절차가 까다롭다면 명백한 차별이다”고 말했다.

국제캠은 신촌캠의 연장선? 원주캠은…

우리대학교 김한중 총장은 언론을 통해 “국제캠은 신촌캠의 연장선일뿐 분교가 아니다”라고 밝혔다.  그러나 ‘하나의 연세’로 세 캠퍼스는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상황이다. 그럼에도 국제캠은 UIC이전, 치·의예과 부분이전 등 신촌캠과 관련된 사안만 논의됐을 뿐, 원주캠과 관련있는 어떤 계획도 현재 기획되지 않은 상태다. 이에 국제캠 관계자는 “비수도권에서 수도권으로 학생들이 이동할 시 법에 상당한 제약이 있다”고 입장을 밝혔다.

지난「연세춘추」1633호에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원주캠 학생의 52.9%가 ‘국제캠이 원주캠에 부정적 영향을 끼칠 것’이라고 보는 것으로 드러났다. 설문조사에 참여한 권혁진(정경경영·07)씨는 “제3캠퍼스가 되는 것 같아 상대적 박탈감이 든다”고 답했다.

교수평의회, 원주캠 교수비율은 18.4%

교수평의회(아래 교평)의 경우에도 원주캠 교수의 비율은 18.4%에 지나지 않는다. 그리고 이와 같은 비율에 대해 교평 소속 교수의 의견이 다른 것으로 드러났다. 교평 의장 박진배 교수(공과대·제어공학)는 “캠퍼스별로 교평 교수의 비율이 다른 것은 전체 교수의 수에 비례해 정해지기 때문”이라고 답했다. 반면 교평 운영위원회에 소속된 아무개 교수는 “아마 인원은 캠퍼스마다 단과대별로 정하는 방식일 것”이라고 답하는 등 현황도 잘 알지 못했다.

캠퍼스별로도 안건을 올린다는 것을 상기했을 때 원주캠 교수의 수가 상대적으로 적은 상태다. 이에 대해 원주캠의 교평 소속 교수는 “원주의 소리에 귀기울이지 않는 것은 없다”며 “주로 공통적인 안건에 대해 다룬다”고 답했다.

대안은 없을까…

원주캠 배제가 과거에는 어떤 모습이었고 어떤 식으로 해결됐을까. 지난 1981년 졸업정원제로 신촌캠 학생 수가 2.5배로 늘자 기존 원주캠에 투자되기로 한 자금은 신촌캠에 투자됐다. 이로 인해 원주캠의 열악한 교육환경은 변함이 없었다. 이에 1992년 원주캠 학생 1천300여명은 23개안의 요구안을 들고 신촌 상경투쟁을 했다. 그 당시 학교측은 비로소 문제의 심각성을 깨닫고 사회관(현 정의관)과 도서관 건립 등 23개안 대부분을 수용했다.

 

원주캠퍼스의 학생들의 투쟁 모습. 원주캠퍼스의 부당한 배제에 대한 개선을 요구하는 학생들을 뒤로한 채 이야기를 나누고 있는 신촌캠퍼스 관계자의 모습이 인상적이다. 이 투쟁을 통해 원주캠퍼스에 사회관(현 정의관)과 도서관이 건립되는 등 학생들의 요구사안이 대부분 받아들여졌다.

“학생들의 불만과 건의에 대한 학교의 침묵은 결국 학생들의 학교에 대한 무관심을 초래한다”고 말한 고진석(정경경제·07)씨는 “학생들을 위한 정책 등이 과연 아래로부터의 열망이었는가를 다시 한번 되새겼으면 한다”며 캠퍼스 소외에 대한 문제제기와 관심을 촉구했다.

원주캠 소외를 살펴보면 부당한 배제와 문제의식 부족이 맞물려 있다. 이러한 문제는 학교 측의 개선의지와 양 캠퍼스 구성원들의 문제의식이 있을 때 해결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이경후 기자 khleekorea@yonsei.ac.kr
자료사진 연세춘추

저작권자 © 연세춘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