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은 우리 주변에서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사물 중 하나다. 하지만 정작 수능을 대비해 겨우 읽었던 명저들을 제외하면 우리가 읽은 책은 거의 없다. 최근에 발표된 통계기관의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 대학생 3명 중 1명은 한 달에 책을 1권도 읽지 않는다고 한다. 책에 대한 관심이 점점 소홀해지고 있는 지금, 책들은 독자들의 관심을 끌기 위해 새로운 모습으로 변신을 시작했다. 이제 새로운 모습의 책들을 만나보자.

책, TV의 시청률을 탐내다

 우리는 TV를 볼 때는 아무 생각 없이 현란한 화면만을 즐기기 때문에 우리는 TV를 바보상자라고 부른다. 이와는 반대로 책은 우리에게 다양한 상상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하지만 우리에게 책과 TV중 하나를 선택하라 한다면 우리는 TV를 선택한다.

 이러한 현실 속에서 책은 TV를 닮으면 자신도 독자들의 흥미를 끌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하게 된다. 이후 책은 TV와 함께 다니기 시작한다. TV프로그램 중간 중간에 책을 소개하는 코너를 진행시켜 자신에게도 흥미를 가져달라고 사람들에게 어필했다. 하지만 이로는 부족함을 알게 된 책은 TV 속에 들어가고 만다. 그리고 TV에는 책과 함께하는 프로그램들이 생겨나기 시작했다. 대표적으로 KBS에서 진행하는 ‘TV, 책을 말하다’라는 프로그램을 꼽을 수 있다.

 ‘TV, 책을 말하다’ 에서는 책은 싫지만, TV는 좋아하는 사람들이 책과 함께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토크나 토론, 혹은 영화 등을 사용해 책의 핵심을 설명한다. 때문에 사람들은 굳이 책을 자주 읽지 않아도 TV를 보며 책에 대한 관심을 가진다.

 이런 프로그램을 통해 책과 사람들은 좀 더 가까워진다. 하지만 직접 책을 읽지 않는 이상 책을 읽는것에 비해 부족한 점이 존재한다. 바로 독자의 자유로운 상상이 막혀버린다는 것이다. 현재 KBS에서 ‘TV 책을 말하다’ 프로그램의 PD를 맡고 있는 정수나모씨는 “다양한 상상력을 막는 프로그램이 되는 것을 탈피하기 위해 노력한다”며 “토론 등의 여러 가지 방법을 통해 그 다양한 상상들을 대신 표현하려 한다”라고 말했다.

엄마가 읽어주던 동화가 되고픈 책

 책은 독자들의 관심을 얻기 위해 TV에게만 접근하지 않았다. 책은 어릴 적 엄마가 머리맡에서 읽어주던 책들이 큰 추억으로 남는다는 것을 기억해낸다. 그리고 라디오를 찾아가 독자들의 어머니가 돼 달라고 부탁했다.

 TV와는 다르게 라디오는 청취자들에게 다양한 이미지를 상상할 수 있도록 한다. 청취자가 읽어주는 책의 내용이 귀 속으로 들어올 때마다 우리들의 머릿속에는 책을 읽을 때와 똑같이 책의 내용들이 우리만의 상상으로 그려진다. 게다가 책을 읽는 노력을 기울이지 않아도, 들리는 소리에 우리의 몸은 자연스레 반응하여 어느 순간 책의 내용에 관심을 갖는 우리를 발견할 수 있다.

 책을 읽어주는 프로그램 중 하나인 ‘EBS 라디오 문학관’을 자주 듣는 이예섬(19)씨는 “수능이 얼마 남지 않았는데 필독도서를 하나도 읽지 않아 걱정하던 중 라디오문학관을 발견했다”며 “수능공부하며 중간 중간 휴식시간에 부담 없이 들을 수 있어 좋다”라고 이 프로그램의 매력을 말했다.

 하지만 진행자가 책을 읽는 만큼 책 읽는 속도에 있어서는 책을 직접 읽는 것보다 한참 뒤쳐진다. 그러나 그만큼 그 책의 내용에 빠져 들 수 있기에 지금도 라디오와 함께하는 책은 사랑받고 있다.

인터넷의 매력에 반한 책

 책은 왜 자신이 인기가 없을까 생각하다가 사람들이 어떤 책을 읽기 위해서는 그 책을 찾고, 사고, 빌리는 수고를 해야 된다는 것을 발견한다. 사람들의 수고를 덜어 줄 수 있다면 자신도 사랑받을 수 있으리라고 생각한 책은 그 방법을 찾기 시작한다. 컴퓨터의 정보성과 편리성을 이용한다면 가능하다는 것을 알게 됐고 책은 과감히 컴퓨터의 속으로 들어갔다. 그리고 e-book이 탄생했다.

 컴퓨터 속에서 우리는 책 제목만으로 책의 모든 것을 얻을 수 있다. 굳이 서점까지 가서 책을 사고 빌리는, 책이 배송되기까지 기다리는 수고를 하지 않아도 된다. 마우스 클릭 몇 번만으로 엄청난 양의 책과 가까이 할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여기에도 문제점은 많다. 김민지(자연과학부?08)씨는 “화면으로 책을 볼 때는 책을 빌려 읽을때보다 눈이 매우 피로해진다” 며 책에 빠져들 수 없다고 말한다. 김지훈(공학부?08)씨는 “원하는 책을 찾아도 e-book형태로 출판되지 않은 것들이 많다”며 “책 자료가 부족하다”고 말했다.

책의 변신은 계속된다

 책의 이런 노력에도 아직도 책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은 적다. 새로운 매체들이 하나 둘 계속 등장함에 따라 책에 대한 관심을 뺏어가기 때문이다. 이러한 매체들 속에서 책이 살아나기 위해서, 책은 지금도 새로운 모습으로 변신을 시도하고 있다. 과거 한때 붐이 일었던 문학소년, 문학소녀들이 이제 새로운 매체 속에서 다시 태어나기를 기대한다.

 박기범 기자 ask_walker@
 일러스트레이션 남아름

저작권자 © 연세춘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